4전 5기 우리은행 민영화, 성공 가능성은
2015-07-21 15:51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금융위원회 기자실에서 우리은행 매각방안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우리은행의 경영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30% 이상 지분 매각에 성공할 경우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MOU)'을 즉시 해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아주경제 박선미·홍성환 기자 = 정부가 21일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여러 주주에게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추가하고 경영 자율성도 최대한 확대키로 했지만 성공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은행의 기업가치가 크게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매각 원칙으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고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의 30∼40%를 우선 매각하고 콜옵션 행사 대비분(2.97%)을 제외한 최대 18.07%의 잔여지분을 다음으로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것도 이같은 맥락이다. 민영화로 우리은행의 가치가 올라가면 나머지 지분을 팔아 최대한 공적자금을 회수하겠다는 것이다.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은 이날 "매각 여건에 여러 요소가 있지만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지금 우리은행의 주가가 상당히 낮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가가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게 100% 옳은 것도 아니고, 주가가 낮은데 무턱대고 매각하자는 것도 맞지 않다"면서 "민영화 방식을 확정 발표하고 모멘텀을 만들어내서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시장의 수요가 없다는 점이 우리은행 민영화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앞서 공자위가 3개월에 걸쳐 시장의 투자수요를 조사했지만 결과는 탐탁지 않았다. 특히 우리은행은 정부가 대주주인 탓에 경영진 교체 등 주요 의사결정 사안이 발생할 경우 늘상 관치금융의 꼬리표가 붙어다니는 것도 시장에서는 매력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평가된다.
윤석헌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는 "(정부가) 공적자금 회수에만 포커스를 뒀을 뿐 ‘금융산업 발전’은 신경을 안쓰는 데다 매각을 한다고 해도 자율성이 보장될지 의문"이라며 "이런 불확실성 때문에 우리은행만 더 저평가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