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강제노역' 해석 갈등…위안부·아베 8.15담화서 재현 가능성
2015-07-07 08:00
영어 문구 놓고 일본 "강제노동 인정 아냐" vs 한국 "누가 봐도 강제노동"
전문가들 "위안부 국장급 협의, 아베 총리 8.15 담화서도 재현 가능성"
전문가들 "위안부 국장급 협의, 아베 총리 8.15 담화서도 재현 가능성"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을 포함한 일본 메이지시대 산업유산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강제징용의 역사를 밝히라는 우리 정부의 요구는 각주(footnote) 형태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세계유산등재는 저만치 앞서나간 일본을 뒤늦게 한국이 잡아채서 협상 테이블에 앉혔지만, 순순히 합의하는 모양새를 보였던 일본이 막판 뒤집기를 시도하는등 한일간의 전형적인 엎치락뒤치락 외교를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남은 한일 양국간 일본군 위안부 협상과 8월 15일 전후로 예상되는 아베 총리의 담화에서도 비슷한 행태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 일본 '강제노역' 문구, 자국 입장서 미적지근하게 풀어
양국은 조선인들이 해당 시설에서 '강제'(forced) 노역을 당했다고 표현할 것인지를 놓고 막판까지 치열한 논의를 거듭했다.우리측은 강제성 명시를 집요하게 요구했으나 일본은 끈질기게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일본이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메이지시대 산업유산군 일부에서 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다는 사실이 등재 결정문(decison) 본문이 아니라 각주(footnote)라는 형태로 우회반영됐다.
그런데 번역문의 해석을 놓고 양국이 각자 편리한대로 해석을 시도하면서 이견이 생겼다.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는 5일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영어로 "against their will and forced to work"이라고 언급했다.
사토 대사의 언급에 대해 우리 정부는 비공식 번역문을 통해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노역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세계유산위원회의 등재 결정 직후 도쿄에서 기자들에게 사토 대사의 언급에 대해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이 6일 전했다.
일본 언론이 일본 정부의 가번역본이라며 공개한 문구에는 'forced to work'라는 부분을 '일하게 됐다'는 표현으로 해석했다. 강제노역이라는 표현을 크게 훼손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 정부 "누가 봐도 강제 노동으로 당연히 해석" 발끈
이에 대해 우리 정부 당국자는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로 노역' 등 이 두 가지 표현은 누가 보더라도 강제노동으로 당연히 해석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우리 정부 일각에서는 강제노역 인정을 부인한 기시다 외상의 발언 등은 일본내 보수적 여론을 의식한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특히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에 따른 배보상 문제는 이미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서 이미 해결됐다는 입장이다.
이에대해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forced라는 문구가 들어간 것 자체가 외교적 성과"라고 일본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다른 관계자는 "유네스코의 일본 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관련 심의에서 영문만이 정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인터넷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굴욕적이다" "등재를 끝까지 막았어야 했다"는 등의 비판적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반면 "일본 정도 자금력과 외교력이면 손쉽게 등재했을 텐데", "세계유산 등재라는 타이틀 자체에 너무 불쾌해하지 말자, 실상은 일본의 자기 무덤 파기다"(다음 이용자 JL) 등 이번 결과를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일부 나왔다.
우려스러운 부분은 일본 정부의 이런 태도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간 국장급 논의와 아베 총리의 8.15 기념 담화에서도 재현될 것이라는 점이다.
일본 집권 자민당은 아베 총리에게 담화를 통해 군위안부가 성노예임을 부정할 것과 여성으로서의 존엄성을 손상당했음을 인정한다는 입장을 동시에 밝히라는 제언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일 관계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일본정부가 합의 해주는 것처럼 하면서 막판에 논의 결과를 뒤집는 행태를 자주 보인다. 앞으로 남은 위안부 협의와 아베 총리 담화 내용에 대해서도 철저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세계유산등재는 저만치 앞서나간 일본을 뒤늦게 한국이 잡아채서 협상 테이블에 앉혔지만, 순순히 합의하는 모양새를 보였던 일본이 막판 뒤집기를 시도하는등 한일간의 전형적인 엎치락뒤치락 외교를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남은 한일 양국간 일본군 위안부 협상과 8월 15일 전후로 예상되는 아베 총리의 담화에서도 비슷한 행태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 일본 '강제노역' 문구, 자국 입장서 미적지근하게 풀어
양국은 조선인들이 해당 시설에서 '강제'(forced) 노역을 당했다고 표현할 것인지를 놓고 막판까지 치열한 논의를 거듭했다.우리측은 강제성 명시를 집요하게 요구했으나 일본은 끈질기게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일본이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메이지시대 산업유산군 일부에서 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다는 사실이 등재 결정문(decison) 본문이 아니라 각주(footnote)라는 형태로 우회반영됐다.
그런데 번역문의 해석을 놓고 양국이 각자 편리한대로 해석을 시도하면서 이견이 생겼다.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는 5일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영어로 "against their will and forced to work"이라고 언급했다.
사토 대사의 언급에 대해 우리 정부는 비공식 번역문을 통해 "본인의 의사에 반해 강제로 노역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세계유산위원회의 등재 결정 직후 도쿄에서 기자들에게 사토 대사의 언급에 대해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이 6일 전했다.
일본 언론이 일본 정부의 가번역본이라며 공개한 문구에는 'forced to work'라는 부분을 '일하게 됐다'는 표현으로 해석했다. 강제노역이라는 표현을 크게 훼손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 정부 "누가 봐도 강제 노동으로 당연히 해석" 발끈
이에 대해 우리 정부 당국자는 "'의사에 반해',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로 노역' 등 이 두 가지 표현은 누가 보더라도 강제노동으로 당연히 해석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우리 정부 일각에서는 강제노역 인정을 부인한 기시다 외상의 발언 등은 일본내 보수적 여론을 의식한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특히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에 따른 배보상 문제는 이미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에서 이미 해결됐다는 입장이다.
이에대해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forced라는 문구가 들어간 것 자체가 외교적 성과"라고 일본측의 주장을 일축했다. 다른 관계자는 "유네스코의 일본 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관련 심의에서 영문만이 정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인터넷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굴욕적이다" "등재를 끝까지 막았어야 했다"는 등의 비판적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반면 "일본 정도 자금력과 외교력이면 손쉽게 등재했을 텐데", "세계유산 등재라는 타이틀 자체에 너무 불쾌해하지 말자, 실상은 일본의 자기 무덤 파기다"(다음 이용자 JL) 등 이번 결과를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일부 나왔다.
우려스러운 부분은 일본 정부의 이런 태도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간 국장급 논의와 아베 총리의 8.15 기념 담화에서도 재현될 것이라는 점이다.
일본 집권 자민당은 아베 총리에게 담화를 통해 군위안부가 성노예임을 부정할 것과 여성으로서의 존엄성을 손상당했음을 인정한다는 입장을 동시에 밝히라는 제언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일 관계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일본정부가 합의 해주는 것처럼 하면서 막판에 논의 결과를 뒤집는 행태를 자주 보인다. 앞으로 남은 위안부 협의와 아베 총리 담화 내용에 대해서도 철저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