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 칼럼] 국내 자동차 튜닝 산업이 성공하려면

2015-07-06 09:26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서울오토살롱이 9~12일에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10여년의 역사를 지닌 국내 자동차 튜닝산업을 대변하는 자리다. 부족한 부분도 많다. 아직 제대로 된 기업도 변변치 않고, 현대차 그룹은 드레스업 튜닝을 전문으로 하는 브랜드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이미 재작년 말 정부에서 자동차 튜닝산업을 창조경제의 하나라고 지정했으나 실질적인 발전은 없다. 그래서 서울오토살롱도 고민이 늘고 있다. 전시회를 주관하는 한국자동차튜닝산업협회는 정부 차원에서 지원이 없다고 한다. 언젠가는 독일과 같은 강소형 중견 기업이 늘어나고 고용창출도 늘어날 것이라는 희망도 갖고 있다.

그런만큼 정부 차원에서 해야 할 과제가 많다. 지난 40여 년간 우리 자동차는 세계적 수준으로 올라간 반면, 튜닝산업은 불모지였기 때문이다. 관련 협회가 할 수 있는 역량은 한계가 있다. 제대로 된 기업 하나없는 상황에서 회비를 받고 이를 토대로 협회를 운영하기 불가능하다.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고 선진국의 법적 제도적 사례를 참조해 풀 것을 풀어야 한다. 규제와 단속만 능사가 아니다. 좌석 하나 떼어내지 못하는 자동차 구조변경제도속에서 미국이나 영국처럼 엔진과 변속기를 사서 자신이 자동차를 만들어 번호판을 붙이고 길거리를 나가는 건 상상하기 힘들다.

우리도 안전, 배기가스, 소음 등을 풀어야 한다. 성공한 해외사례는 얼마든지 많다. 소비자를 위한 원스톱 서비스 제도도 구조변경제도속에서 제대로 했는지 자성해야 한다. 인증제도도 규제가 아닌 민간 차원의 자생적 제도로 자리매김해야 실질적인 성장과 제도적 안착이 가능하다.

튜닝 전문 강소기업 육성도 새로운 원천기술 업체를 가려서 지원해야 하고, 형식적인 연구개발 지원은 사라져야 한다.

자동차 튜닝과 실과 바늘의 관계인 모터스포츠 지원사업도 전국적인 거점을 기반으로 중앙정부가 지원을 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또 튜닝전문가 양성과 자격증 제도 안착, 제대로 된 튜닝 프로그램 개발 등도 필요하다. 형식상 흉내내다 사라지는 관행으로는 시장확대가 불가능하다.

서울오토살롱 두번째 날인 10일 오후 자동차 튜닝세미나에서는 이런 현실을 짚어볼 예정이다. 조금이라도 기대하고 노력하는 이유는 그래도 될 것이라는 희망을 놓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