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상장사 25곳 '제2 삼성물산' 위험… 삼성그룹 7개 최다

2015-06-17 08:58

[CEO스코어 제공]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 국내 30대 그룹 상장 계열사 25곳이 ‘제2의 삼성물산’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공격을 받고 있는 삼성물산처럼, 외국인 투자가 지분이 대주주 우호 지분보다 많아 ‘고위험군’에 속하는 기업이 13곳에 달했다.

현대엘리베이터처럼 대주주 우호 지분이 50% 미만이고, 외국인 지분과 격차가 크지 않아 외국계 자금의 공격 가능성이 상존한 회사도 12개였다.

그룹별로 △삼성그룹이 7개로 가장 많았고 △LG 4곳 △현대차, SK, 신세계, 현대 2곳 △GS, 두산, 대림, 동부, 현대백화점, OCI, 동국제강 각 1곳이었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30대 그룹 186개 상장 계열사를 대상으로 대주주와 외국인 투자가의 지분율을 조사한 결과, 외국인 지분이 대주주 우호 지분보다 많은 곳이 3분의 1인 14개(삼성물산 포함)에 달했다. 외국인 기관투자가가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은 총 42개였다.

최근 엘리엇의 공격을 받고 있는 삼성물산의 경우, 엘리엇 지분은 7.1%에 불과했지만 외국인 지분이 33.8%로 대주주 우호지분보다 19.8%포인트나 높아 발생한 분쟁이다.

‘제2의 삼성물산’ 위험에 똑같이 노출된 경우가 삼성화재해상보험이다. 삼성화재는 외국인 지분이 51.3%로 대주주 우호 지분(18.5%)보다 32.8%포인트나 높다. SK하이닉스도 외국인 지분이 32.4%포인트 많고, 에스원도 외국인이 26.9%포인트나 높은 지분율을 기록했다.

이마트 역시 외국인 지분이 52.9%로 대주주 우호지분을 25.7%포인트나 앞질렀고, 호텔신라(21%p), 삼성물산(19.8%p), SK텔레콤(19.3%p), 신세계(16.8%p), 동부화재(11.2%p), GS홈쇼핑(9.7%p), 삼성SDI(8.6%p), 대림산업(8.2%p), 실리콘웍스(4.4%p), 제일기획(0.02%p) 역시 외국인 지분율이 높았다.

대주주 우호지분이 외국인보다는 많지만, 외국인 기관투자가의 공격 가능성이 상존해 있는 곳은 12곳으로 조사됐다.

대주주 우호지분이 50% 미만이고, 외국인 지분과 격차가 20%포인트 미만인 경우다. 외국인 기관투자가가 국내 대기업 그룹 오너 일가의 상속·증여를 위한 인수합병이나 유상증자 등에 제동을 걸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잠복해 있다.

현대그룹 지배구조의 핵심 연결 고리인 현대엘리베이터의 경우, 대주주 우호지분이 31.2%, 외국인 전체 지분이 31%로 0.2%포인트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 게다가 외국인 투자가인 쉰들러홀딩스는 21.5%나 지분을 보유해 언제든지 경영에 간섭할 수 있다. 실제 쉰들러홀딩스는 현대엘리베이터가 지난 4월 결의한 유상증자를 공식적으로 반대하는 등 경영활동에 제동을 건 바 있다.

LG유플러스도 대주주 우호지분과 외국인 지분간 격차가 1.2% 포인트에 불과하고 지투알(2.1%p), 삼성엔지니어링(6.3%p), 동국제강(6.9%p)도 외국인 지분과의 격차가 10%포인트 미만이었다..

현대글로비스(11.7%p), OCI(12.6%p), 두산인프라코어(13.6%p), 현대상선(14.2%p), 현대로템(17.4%p), 한섬(18.1%p), LG(19.3%p)는 대주주 우호 지분이 외국인 투자가보다 10% 이상 높았다. 그러나 대주주 우호지분이 50%에 미달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30대 그룹 상장사 중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높은 곳은 SK하이닉스(53.2%)였고, 이마트(52.9%), 삼성화재(51.3%)도 50%를 넘었다.

이어 에스원(47.9%), SK텔레콤(44.5%), 신세계(43.9%), 동부화재(42.4%)가 40%대, GS홈쇼핑(39.7%), 실리콘웍스(39.1%), 호텔신라(38.6%), LG유플러스(34.9%), 삼성물산(33.8%),

지투알(32.9%), 대림산업(32.2%), 현대엘리베이터(31%)는 30%대였다.

이밖에 LG, 삼성SDI, 제일기획, 현대글로비스, 현대로템, 두산인프라코어, 동국제강, OCI, 한섬, 삼성엔지니어링, 현대상선은 20% 미만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