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음식물자원화시설 악취 '심각'

2015-05-20 13:07
2년간 기준치 4배초과 악취 배출

아주경제 김태성 기자 =광주시가 수백억원을 들여 만든 음식물 자원화 시설이 오히려 악취를 기준치 이상 내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설은 가동 초기부터 배출 기준치를 초과하는 등 부실 설계 및 시공 의혹도 일고 있다.

20일 광주시와 광주환경공단 등에 따르면 서구 유덕동에 사업비 691억원이 투입된 제2공공음식물자원화 시설이 2013년 6월 준공돼 가동 중이다.

광주환경공단이 위탁관리하는 이 시설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해 사료를 만들어 오고 있다. 문제는 준공 이후 2년이 다 되도록 원인 규명은 커녕 법정 기준치를 최대 4배 초과한 악취를 내뿜고 있다는 사실이 각종 조사에서 확인됐다. 
 
광주 서구청이 시설 개선 권고를 내린 이후에도 배출 허용기준 '희석배수 500'보다 4배 이상 초과한 2080의 악취 물질을 배출해 온 것으로 측정됐다.

더욱이 가장 큰 문제는 현재 악취 배출 물질을 기준치 이하로 줄일 악취방지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해 12월 '광주 제2 공공음식물자원화시설 악취측정 결과보고서'를 통해 법적 기준치가 넘는 악취 배출의 근본 원인을 '악취방지시설 처리 능력의 한계'로 지적했다.

광주 제2공공음식물 자원화시설 악취방지시설의 경우 하루 300t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데, 2단계와 3단계 악취 처리 설비용량이 각각 분당 250㎥, 분당 1700㎥ 수준에 불과하다.

광주보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량(하루 95t)이 30% 수준인 서울 동대문구의 경우 2단계와 3단계 처리 용량이 모두 분당 3600㎥에 달한다. 하루 처리량이 260t인 고양시도 광주보다 세 배 가까이 많은 650㎥ 규모의 악취방지 처리용량을 갖추고 있다.

비슷한 처리 규모의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악취방지시설이 크게 부족한 것이다.
설계와 시공을 같은 업체가 맡은 이른바 '턴키방식'으로 시공된 점을 고려하면 애초부터 부실설계를 했다는 의혹도 일고 있다. 이 공사는 H건설(46%)과 N건설(44%)등이 참여했다.

더 큰 문제는 시설 주체인 광주시가 기준치 초과 원인을 사실상 밝혀내고도 업체 눈치를 보며 즉각적인 시설보강 등의 명령을 내리지 않고 미적 거린다는데 있다.
박미경 광주환경공단 상임이사는 "기술진단을 받아서 악취를 줄이기 위한 시설개선과정에 있으며 조만간 악취문제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을만한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