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풍력발전사업…'투자진흥지구' 제외

2015-04-13 13:39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파급효과 크지 않아

▲지난해 가시리풍력발전소(사진)가 신재생에너지사업 분야 처음으로 투자진흥지구에 지정됐다.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풍력발전사업이 제주투자진흥지구 대상에서 제외된다.  

양기철 제주도 국제통상국장은 13일 오전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재생에너지사업 중 풍력발전사업의 경우 투자진흥지구 지정 대상에서 제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양 국장은 “풍력발전사업은 사업성격상 고수익이 예상되는 반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크지 않아 투자진흥지구 지정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풍력발전사업이 찬밥 신세가 된 가장 큰 이유로는 “풍력자원 개발이익을 대기업이 독식하는 마당에 왜 도가 나서는냐”는 도민 사회의 반발이 거세다.

앞서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월 “도내 최초 풍력발전단지인 행원단지가 완공된 이듬해인 2004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11년동안 제주지역 전체 풍력발전단지의 누적 매출액은 2512억원에 이른다” 며 “이 중 전체의 78%인 1980억원에 달하는 수입은 도외 대기업이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도를 겨냥, 제동을 걸 것으로 주문했다.

이들은 “풍력자원 개발이익을 대기업들이 독식하고 있다” 며 “이를 지역에 환원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도내에서 단일규모로 가장 큰 삼달풍력발전단지는 민간자본인 한신에너지가 운영중으로 2009년 말 가동을 시작, 5년여 동안 누적매출액이 725억원에 달해 초기 투자비용 783억의 약 93%를 회수했다. 또 발전공기업인 한국남부발전은 한경풍력발전단지에서 690억원의 수익을 올려 투자비용 522억원을 훨씬 초과한 132%를 달성했다. 성산풍력단지는 488억원을 벌어들여 전체 사업비 500억원의 약 98%를 회수했다.

이는 당초 목표인 사업 초기 10년 이상 걸릴것으로 예측됐던 투자비 회수기간이 절반 정도로 앞당겨질 것으로 이로 인해 사업자들이 향후 더 많은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지난해 가시리풍력발전소와 김녕풍력발전소가 신재생에너지사업 분야 처음으로 투자진흥지구에 지정됐다. 이들은 풍력발전지구 지정 심의 당시 매출액의 일정부분인 7%를 도에 기부하는 등 개발이익 환원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