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2009년 '광명성 2호' 발사 과정서 조종사 14명 사망
2015-03-03 08:43
[사진= 연합뉴스TV]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일 항공 및 반항공군 제447부대를 방문해 "광명성 2호기의 성과적 발사를 보장하기 위해 작전에 참가해 위훈을 떨친 14명 전투비행사들의 위훈비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정은 제1위원장이 후계자로 내정된 지 3개월 뒤인 2009년 4월 5일 광명성 2호를 장거리 로켓에 탑재해 발사했으며 당시 김 제1위원장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함께 발사 현장을 참관했다. 북한은 광명성 2호를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해 왔다.
김 제1위원장은 "당의 명령 관철을 위해 죽음을 각오하고 결사 전으로 나아간 전투비행사들 14명의 육탄자폭정신은 인민군대사업의 표대"라며 위훈비 건립이 잘 마무리됐다고 격려했다.
이어 "이곳 부대는 조국해방전쟁 시기는 물론 전후에도 미제 침략자들과의 싸움에서 무비의 용맹을 떨쳤다"며 군인들을 치켜세우고 위훈비 앞에서 군인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북한이 과거 사고 사실까지 뒤늦게 공개하며 '광명성 2호' 발사의 위훈을 부각하는 것은 전날 시작된 한미연합훈련에 대응해 군의 기강을 다잡고 사기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제1위원장의 이날 시찰은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오일정·한광상 당 부장, 리병철 당 제1부부장, 손철주 공군 정치위원이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