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산업활동 22개월만에 최저…구조개혁 ‘삐그덕’
2015-03-03 07:42
광공업 생산 3.7% 감소…역대 최악
"기저효과 감안해도 기대치 훨씬 하회…불황형 흑자 확대"
"기저효과 감안해도 기대치 훨씬 하회…불황형 흑자 확대"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올해 구조개혁에 심혈을 기울이는 정부가 연초부터 위기를 맞았다. 1월 각종 산업지표가 예상보다 감소폭이 커지면서 정부 정책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1월과 2월 연말정산 파동과 증세 논란을 한차례 넘기며 숨고르기를 하나 싶더니 각종 경제 지표가 하락세로 돌아서며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1월 산업활동동향은 정부 기대치와 무색하게 모든 부문에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특히 서비스업 등 소비자 물가와 직결되는 부분이 감소한 것이 치명적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1월 산업활동동향은 예상보다 부진했다. 아무리 계절적 요인과 기저효과를 따지더라도 경기회복 기대감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1월 광공업생산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감소세가 가장 컸다. 전달보다 3.7% 감소한 부분이 치명적으로 작용했다.
1월 산업활동동향이 부진하자 정부는 서둘러 원인분석에 나섰다. 이찬우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통계청 발표 직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근 지표 부진은 일시적 요인과 저유가 영향이라는 해명을 내놨다.
이 국장은 “담뱃값 인상, 설 이동효과, 기저효과 등으로 소비와 투자에서 감소를 보인 것”이라며 “실물 지표들의 월별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 경기둔화 진단은 성급하다”고 말했다.
광공업 생산이 2008년 12월 이후 최대폭 둔화된 이유 역시 ‘기저효과’를 꼽았다. 지난해 말 자동차 밀어내기 생산에 따른 생산 감소라는 것이다.
통계 기술적 요인도 지표 부진 원인이라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전월 광공업생산 수치가 0,8%포인트 상향조정되면서 과거에 비해 1월에 큰 폭의 계절요인이 적용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불황형 흑자’에 대한 우려가 높다. 같은 날 한국은행에서 발표된 경상수지 흑자가 내수 침체와 엇박자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기저효과의 영향이 크게 작용해 산업지표가 매우 안 좋게 나타난 측면은 있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그런 점을 감안해도 경기가 소프트패치(회복세에서 잠시 멈춘 것)에서 아예 꺾이는 게 아닌지 모르겠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국제수지’에 대한 우려도 크다. 올해 1월 경상수지는 69억 달러 흑자로 35개월(2년11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문제는 경상수지 흑자 폭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지만 국제유가 하락, 내수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소위 ‘불황형 흑자’에 대한 시각이 커지는 대목이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내수가 나빠지고 있는데 35개월째 경상수지가 흑자인 것은 불황형 흑자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으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