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이슬람국가(IS)라는 표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할 때
2015-02-10 00:10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지난 4일 전 세계가 충격에 빠졌다.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인질로 억류해 온 요르단 공군 조종사를 산채로 화형시키는 장면을 담은 영상을 인터넷에 공개했기 때문이다.
요르단 국민은 분노했고, 국제사회도 잇달아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우리 외교부도 “이슬람국가(IS)의 요르단 조종사 살해 관련 대변인 논평”을 발표해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외교부 대변인 논평에서 사용된 IS라는 표기가 적절했는지 짚어봐야 한다.
일본과 미국, UN 등 대부분의 국가도 이슬람국가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IS(Islamic State)'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슬람국가의 원천은 이라크의 알카에다가 결성한 ‘이라크·이슬람국가(ISI)'다. 2013년 4월에 시리아 조직과 합병하면서 '이라크·시리아·이슬람국가(ISIS)'로 개명했고, 터키와 레바논 지역이 레반트라고 번역되면서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라 불리기도 한다. 'IS'는 2014년 6월 칼리프제 국가 수립을 선언하면서 그들이 일방적으로 선포한 호칭에 불과하다.
IS라는 호칭을 그대로 표기할 경우 테러단체가 일방적으로 선포한 IS를 국가로 인정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전 세계가 IS라는 표현을 피하는 이유다. 외교부를 포함한 우리 언론도 IS라는 표현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