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친박 편향' 정무특보단 발표 놓고 막바지 진통

2015-01-27 11:25

지난 26일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 앞서 새로 임명된 특보단과 티타임을 갖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청와대가 신설된 정무특보단 발표를 놓고 막바지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청와대는 지난 23일 청와대 개편안 발표 시 민정·홍보·안보·사회문화특보를 임명했으나 정무특보단의 명단은 내놓지 못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애초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 위주의 특보단을 짰다가 새누리당 측의 반발에 접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현재까지 정무특보단 후보군은 새누리당 김태환·윤상현 의원과 원외인사인 정진석·이성헌·현기환 전 의원 등 이른바 친박 인사들이다. 그런데 이를 두고 김무성 대표를 중심으로 한 당내 비주류 진영에서 정무특보단이 오히려 소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전체 특보단장에 친박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을 염두에 뒀지만, 서 최고위원은 친박 편향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고사했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정치편향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정파, 지역, 기능별 대표성 등을 두루 고려해 최대 4∼5명까지 정무특보를 두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후보들은 차기 총선 출마 문제 때문에 마음의 결정을 쉽게 내리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정무특보단 규모가 2∼3명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별도의 전체 특보들을 대표하는 특보단장을 임명하지 않는 대신 정무특보단장을 두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정무특보단 인선까지 완료되면 종로구 창성동 정부청사 별관에 별도의 특보단 사무실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