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고용시장] 금융권 고용 위축...부가가치 창출에도 악재

2015-01-20 17:11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 금융인들이 업계를 떠나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금융권 일자리가 2만개 이상 사라진 것이다.

단순히 금융인의 실직이 문제가 아니다. 금융산업과 경제가 동반성장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수익성 악화에 따른 금융권 일자리 감소는 한국경제 전반을 위축시킬 수 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금융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좀처럼 올라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0일 금융권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금융 보험업 종사자는 평균 84만명이다.전년동기 86만4000명에서 1년새 무려 2만4000명(2.8%)이 줄어든 것이다.

이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5만5000명이 줄어든 이래 최대 감소폭이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전체 취업자 중에서 금융업 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13%이다. 역시 2009년 7월 3.12% 이후 최저치다.

금융권의 일자리 감소는 저성장·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금융사들의 수익성이 악화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GDP에서 금융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고용이 위축될 경우 금융권의 부가가치 창출 능력도 더욱 떨어지는 악순환이 우려된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 1인당 GDP가 10만6400달러인 룩셈부르크의 경우 GDP 대비 금융산업 비중은 24.7%이다. 이어 △스위스(1인당 GDP 7만8900달러) 11.1% △호주(6만7300달러) 10.5% △아일랜드(4만6000달러) 9.5% △네덜란드(4만6000달러) 8.6% △미국(5만1700달러) 8.3% △영국(3만9200달러) 7.3% 순이다.

이 기간 한국(2만2600달러)은 6.7%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1~3분기에는 되레 5.4%로 떨어졌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취임 당시 "GDP 대비 금융업 비중을 10%까지 끌어 올리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10% 달성은 요원해 보인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성장률과 고용률의 정체로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경제에 자금을 공급하는 은행 부문 등에서 고용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규제·감독 시스템의 개혁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