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고용시장] 아직 희망은 있다…금융권, 고용안정 안간힘

2015-01-20 16:51
임금피크·정규직 전환 앞장…비용절감 딜레마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수익성 뿐만 아니라 공익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금융권의 경우 정부의 고용정책에 발맞춰 타 업권에 비해 고졸채용이나 정규직 전환 등에 앞장서왔다.

최근에는 고용안정 차원에서 상당수 은행들이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으며 임금피크제도 시행하고 있다.

MB정부 당시에는 IBK기업은행과 KDB산업은행 등 금융공공기관을 시작으로 시중은행들이 고졸채용을 본격적으로 실시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에는 비정규직 고용안정 및 차별철폐 공약에 따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1월 계약직 42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2013년 10월 국민은행 노사 합의에 따른 것으로, 기존 L1~L4로 구분된 정규직 체계에 L0 직급을 신설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우리은행은 2007년 은행권 최초로 계약직 3076명을 정규직화했다. 당시 우리은행은 정규직 전환에 필요한 재원을 기존 정규직 임금 동결분으로 확보한 바 있어 은행권 안팎의 관심을 받기도 했다. 이어 2013년에는 443명의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신한은행 역시 2013년 1월 텔러 838명을 새로 신설한 리테일서비스(RS) 직군에 편입, 정규직화 했다. 외환은행의 경우 노사가 지난 2013년 말 정규직 전환에 합의했으나 아직까지 전환하지 못하고 있다. 하나금융지주는 외환은행 계약직 2000여명과 하나은행 계약직 1400명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양행 조기통합 이후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정규직 전환 노력에 따라 은행권 직원수는 2008년 3월 말 9만6819명에서 지난해 9월 말 10만6294명으로 9.79%(9475명) 증가했다.

만 55세 이상인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임금피크제 역시 상당수 은행이 시행 중이거나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은행과 국민은행의 경우 각각 2005년, 2008년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임금피크 대신 명예퇴직을 선택한 직원에 대해서는 재취업 소개 및 관련 직업교육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임금피크제에 돌입한 직원 중에서도 중간에 퇴직하는 경우를 감안해 전직을 돕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협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임금피크제를 만 57세부터 적용키로 했다. 내년부터 법정 정년이 만 58세에서 60세로 늘어나자 임금피크제를 새로 도입하되 기존보다 적용시기를 2년 늦춘 것이다.

신한은행은 임금피크 대신 2010년부터 전담감사자(관리전담직)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퇴직한 직원을 재채용하는 방식으로, 전담감사자는 각 영업점에서 발생하는 영업행위에 대한 익일 감사를 실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지난해 채용된 150명을 포함해 현재 400여명의 전담감사자가 활동하고 있다.

이같은 조치에 대해 금융권 안팎에서는 고용안정이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은행 입장에서는 고용안정이 비용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무기계약직 직원들을 일시에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향후 신입행원 채용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한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고용안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면서도 "불가피하게 구조조정을 실시해야 하겠지만 이 과정에서도 최대한 인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