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회장의 '마지막 숙제' 중국 4공장 어떻게 되가나?

2014-09-30 16:00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현대차]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 올해 임단협도 큰 무리없이 마무리 지었다. 지난 주에는 '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 건립을 추진할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본사 부지에 대한 매매계약도 체결했다. 앞서 지난 달에는 검토에서 투자계약 확정까지 3년여간 공을 들인 멕시코 공장에 대한 현지 정부와의 조인식도 마무리 지었다.

많은 시간과 돈이 투자됐지만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올해 구상했던 계획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하나씩 해결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정 회장은 아직 아쉬운 부분이 있다. 중국 4공장 착공이라는 숙제를 아직 다 풀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숙제를 풀기까지는 올 한해가 3개월 밖에 남지 않았다. 숙제를 해결하는 시기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현대차의 중국 공략 시나리오는 꼬이기만 할 뿐이다.

이렇다보니 중국 신공장 착공이라는 숙제를 정 회장이 어떻게 풀어낼지 주목되고 있다.

최근 현대차그룹은 애널리스트 및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기업설명회(IR)에서 연간 생산 1000만대를 2020년 이전에 달성한다는 내부적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이는 질적 성장에서 벗어나 양적 성장을 통한 공격 경영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특히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증가하는 수요를 잡지 못하면 이 같은 목표 달성에 크게 차질이 생긴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 4공장 착공이 연내에 시작되어야만 한다. 그래야 2016년부터 본격 양산을 시작할 수 있다. 앞서 현대차는 2012년부터 중국 4공장 건립을 검토해왔다. 중국 4공장 입지는 이미 충칭으로 낙점됐고, 이미 충칭에 45만평의 공장용지도 확보해 놨다. 착공만 남았을 뿐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충칭에 공장을 짓기 위해서는 허베이에도 공장을 신설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세웠다. 중국 정부는 대기오염을 많이 발생시키는 북경인근 지역인 허베이성에 현대차의 최첨단 친환경 공장을 건립했으면 좋겠다는 의도다.

현대차로서는 중국 현지 생산능력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지만 중국 정부의 뜻에 따를 경우 무리한 투자로 인해 재무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다. 최근 한전부지 매입에만 10조 이상의 금액을 제시해 대내외적으로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그럼에도 현대차는 충칭과 허베이 두 곳에 공장을 짓는 방안을 놓고 중국 정부와 최종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현대차로서는 중국의 이 같은 무리한 요구가 부담스러운 것만은 아니다. 허베이를 포함한 징진지 일체화 프로젝트를 중국의 발전개혁위원회가 추진하고 있고 종합 교통망 인프라 구축 및 재정, 융자 방면의 세부 정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지원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10월 1일부로 베이징, 톈진과 허베이 3지역의 통관일체화가 본격 실현돼 징진지 지역의 물류운송비용을 절약하고 상품유통 활성화를 추진하는 데 힘을 보태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중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차 시장 확대를 위한 각종 정책에서도 혜택을 볼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는 친환경차 시장을 확대해 환경보호와 친환경차량 보급 확산 등을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차세대 친환경 전략차종 중 일부만 선택해 집중 개발하고 있는 것과 달리, 세 가지 모든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출시와 중국시장을 겨냥한 준중형 전기차 양산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관련, 현대차는 글로벌 연구개발(R&D) 거점 확보를 목표로 내년 상반기 완공 예정인 중국 산둥성의 옌타이 연구소에 친환경차연구소도 함께 건립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여전히 현대차의 중국 4공장은 윤곽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지만 결국엔 현대차와 중국 정부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오지 않겠나"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