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산업단지, 조성 후 35년 지나면 쇠퇴기 진입"
2014-09-14 13:57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국내 산업단지가 조성 후 35년이 지나면 쇠퇴기로 접어든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4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산업단지 활력도와 조성 연수 간 상관관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 있는 1040개 산업단지가 성장기에서 쇠퇴기로 넘어가는 변곡점은 '단지 조성 후 35년'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이번 분석을 위해 국내 30개 산업단지를 표본으로 추출해 활력도(산단 내 사업이 활발한 정도)를 조사했다. 활력도는 산업단지 내 사업이 얼마나 활발한지를 따지는 개념이다. 특허 출원 수와 연구개발 투자 비중, 배후지역 인구 대비 단지 내 종사자 수, 사업체 가동률, 배후지역 지가 상승률 등 다양한 지표로 매겨진다.
30개 산업단지의 활력도를 산출한 결과, 완주 산업단지와 대덕 연구 산업단지, 울산미포 산업단지가 활력도 1∼3위를 차지했다. 반면 군산과 여수, 아산 산업단지는 활력도가 가장 낮은 3개 단지로 꼽혔다.
각 산업단지의 활력도는 조성 이후 어떤 시점에서 정점에 이른 뒤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고서는 이를 측정하는 산식에 맞춰 분석한 결과 정점 도달 시기가 '단지 조성 후 35년'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시간이 갈수록 산업단지의 활력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변곡점보다 훨씬 앞선 시기에 대비책이 마련돼야 한다"며 "정부는 산업단지의 성장경로를 사전에 파악해 미리 업종의 고도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갈수록 노후화하는 산업단지를 새롭게 바꾸기 위해 입주 가능한 업종을 확대하고, 복지·편의시설을 산업시설과 통합배치하기로 하는 등 다양한 개선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산업단지는 국내 제조업체의 90% 이상이 모여 있고 국내 총생산의 72.3%, 수출액의 76.8%를 담당하는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 거점이다.
하지만 올해 3월 기준으로 전국 1040개 산업단지 중 34.6%에 달하는 360개가 조성한 지 20년 이상 지난 노후 단지인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