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청 1주년...'한·중 경협단지 추진' 등 성과 가속화
2014-09-12 18:00
![새만금청 1주년...한·중 경협단지 추진 등 성과 가속화](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9/12/20140912161446561116.jpg)
새만금 토지이용 및 기반시설 계획.[제공=새만금개발청]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이병국 청장의 지휘 아래 새만금개발청이 지난 12일로 개청 1주년을 맞았다.
지난해 9월12일 문을 연 새만금청은 1년 동안 국책사업으로서 위상을 확립하고, 조속한 내부개발과 투자유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데 매진한 한 해였다고 자평했다.
우선 '새만금 한·중 경협단지' 추진으로 사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다.
지난해 12월 한‧중 경제장관회의에서 처음 공식 논의된 이후, 올해 7월 한‧중 정상회담 정식 의제로써 양국 정상이 연구·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새만금청은 연내 한·중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현 정부 내 가시화를 목표로 내년부터 사업계획 수립, 참여기업 선정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OCISE는 새만금 산업단지 1공구(16만2000㎡)에 9572억원을 들여 산단 입주기업에게 전기·증기 및 온수 등 에너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도레이사는 산단 2공구(21만5000㎡)에 3054억원을 투자한다. 두 곳 모두 2016년 2월 준공 예정이다.
벨기에의 솔베이사는 산단 2공구(6만6000㎡)에 자동차 친환경타이어 소재를 생산하기 위해 지난해 1210억원 상당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입주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보인다.
새만금청은 "향후 일본기업 전용 단지를 조성하는 등 첨단화학단지를 육성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 기업으로는 조선·해양레저 기업인 탱크테크(주) 등 38개사가 내년부터 새만금산업단지 2공구 34만㎡에 약 1065억원을 투자하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업지역 내 체계적인 기반시설 조성을 위해 내년 초까지 '광역기반시설 설치계획'을 완료할 예정이다.
새만금의 동서를 관통하는 동서2축도로의 기본설계가 이달 말 완료되고, 남북2축도로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한창이다. 새만금 신항만은 한‧중 경협단지 등과 연계해 일부 조기 확충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와 논의 중이다.
또 경제자유구역 수준의 규제특례, 인센티브 부여 및 새만금에 시급한 규제완화 등 차별화된 투자환경 마련을 위해 새만금특별법을 개정 중에 있다. 유연한 토지 이용이 가능하도록 개발용도‧면적‧위치 등 세밀한 규정들을 방향성만 제시하거나 범위 형태로 부여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밖에도 새만금을 '사람이 모이는 명소'로 탈바꿈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새만금청은 노출부지, 갈대, 수변공간 등 생태자원을 활용해 산책길, 탐방로, 생태공원 등이 마련된 자연생태 체험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유휴부지도 적극 활용해 최근 새만금청은 매립이 완료된 새만금 관광단지 남측부지 중 육상토가 매립돼 염분농도가 양호한 곳에 경관작물(메밀+귀리) 식재를 시작했다.
예술·공연·축제·관광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새만금만의 특색있는 문화예술 공연과 축제 등을 개발하는가 하면, 하반기에는 전국 윈드서핑 대회, 자전거페레이드, 음악축제 등도 열릴 예정이다.
이병국 새만금개발청장은 "앞으로도 새만금이 대한민국의 경제도약을 위한 소중한 자산으로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사업이 더욱 큰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사업 특성상 관계부처간 효율적인 협업과 이해관계의 조정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추진체계에 대한 정비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