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에 48억 투입… 20개동 규모 한옥 시범마을 짓는다

2014-09-11 11:00
평창올림픽 숙박시설 활용, 수원에는 한옥전시관 건립

강릉 한옥 시범마을(왼쪽)과 수원 한옥 기술전시관 조감도.[이미지=국토교통부 제공]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강원 강릉 일대에 한옥 시범마을이 조성돼 2018년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숙박시설로 활용된다. 경기도 수원에는 한옥의 기술과 현대 모습을 알리는 한옥전시관이 세워진다.

국토교통부는 한옥기술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한옥 시범마을과 한옥전시관을 건립한다고 11일 밝혔다.

한옥기술 연구개발사업은 국토부가 2009~2016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명지대 등과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옛 마을의 정취와 특성을 담아내는 한옥마을과 한옥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현대 내부공간을 반영한 한옥전시관의 최적 모델개발이 목표다.

지난해까지 개발한 살기 편하고 따뜻한 한옥을 위한 요소기술들을 한옥마을과 한옥전시관의 실제 구축과정에 접목해 연구개발의 실효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한옥마을과 한옥전시관 사업 유치기관은 국토부와 국토진흥원의 공공기관 대상 공모를 통해 접수된 지방자치단체 중 입지, 파급효과, 활용 가능성, 추진의지 등을 종합 평가해 선정했다.

한옥 시범마을은 강릉시 죽헌동에 들어선다. 대지면적 1만2300㎡에 20개동 내외 숙박시설을 짓게 된다. 강릉시는 오죽헌(보물 제165호)과 선교장(중요민속자료 제5호)에 인접한 한옥마을을 평창동계올림픽 숙박시설로 사용하는 계획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수원시는 화성 세계문화유산 내 장안문 인근 한옥촉진구역에 다양한 콘텐츠를 담은 한옥기술전시관을 건립해 한옥관련 기술을 전파하겠다는 계획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옥 기술전시관은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1539㎡에 들어선다. 전통한옥 및 신한옥 연구개발(R&D) 기술보급, 한옥 기술 이전 및 교육을 통한 한옥산업 선점, 한옥 관련 전시 및 체험 등을 통한 문화·관광 콘텐츠를 확보하게 된다.

국토부는 설계비·시공비 등 한옥마을 조성에 30억원, 기술전시관에 25억원을 각각 지원할 예정이다. 강릉시와 수원시는 건축물 조성을 위한 대지 및 자금 일부 등 각각 18억원과 5억원을 조달한다.

국토부 건축문화경관과 관계자는 “한옥마을 및 기술전시관의 최적 모델 개발을 통해 한옥 보급의 전기를 마련하겠다”며 “보다 많은 국민들이 한옥의 진정한 가치와 잠재력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