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카드 꺼넨 현대중공업 노조… 파업 ‘장기전’ 가나
2014-08-27 14:35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현대중공업 노사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30여차례에 걸친 교섭에도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 않자 노조측은 ‘파업’이라는 최악의 카드를 만지작대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파업에 돌입 할 경우 장기전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27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 25일부터 임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3개월간 30차례에 걸친 교섭에도 뚜렷한 해법이 보이지 않았다는 게 노조측 설명이다.
노조측은 오는 9월 2일 중앙보고대회를 열어 현재 교착상태에 빠진 협상 경과와 집행부의 투쟁일정을 조합원들에게 직접 알린다는 방침이다. 이튿날인 9월 3일에는 쟁의조정을 신청하고 추석휴가 이후 실제 쟁의절차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실제 파업에 돌입한다면 19년간 이어온 무분규 협상 타결 기록은 깨지게 된다.
현대중공업 노조측에 따르면 “집행부가 이처럼 특단의 조치를 내릴 수밖에 없는 이유는 십 수년 동안 안일한 방법으로 임·단협을 마무리 지은 사측의 교만함에 일침을 가해 협상의 물꼬를 트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업이 이어질 경우 장기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파업이 장기화 되지 않는 이상 회사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기 어려운 만큼 노조측이 더욱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 수 있다는 점에서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노조 파업으로 공장라인이 멈출 경우 즉각 제품생산에 차질로 이어져 파업 효과가 크다. 하지만 공사기간이 긴 중공업의 경우 공정에 차질을 주기 위해서는 최소 3개월 이상 파업이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 업계측 중론이다.
즉 회사에 대한 불만이 극도로 높아진 상황에서 강성노조 집행부가 들어섰고, 노조측은 노동자들의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파업을 장기전으로 끌고 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공업 특성상 파업이 단기전에서 끝난다면 그간 채우지 못한 공기는 추가인력 투입 등으로 맞출 수 있다”면서도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노동자는 말라죽는 형국이 될 것이고, 회사 또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는 등 모두가 피해자가 되는 만큼 양측이 한 발 물러서 최악의 상황은 최대한 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노조가 제시한 임단협 협상안은 올해 임금 13만2013원(기본급 대비 6.51%, 통상임금 대비 5.90%) 인상과 성과금 250%+추가, 현재 2만3000원인 호봉승급분을 5만원으로 인상하는 안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