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콩고 에볼라 환자 두명 사망,에볼라 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

2014-08-25 09:54

에볼라 바이러스[사진 출처: BBC 동영상 캡쳐]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민주콩고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 발생으로 에볼라 바이러스가 서아프리카를 넘어 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4일(현지시간) AP, AFP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이날 중부 아프리카의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보건당국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환자 2명을 처음으로 확인했고 모두 이미 사망했다”고 밝혔다.

민주콩고 에볼라 환자 두명 사망으로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는 서아프리카(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나이지리아)에 이어 중부 내륙에서도 발생했다.

민주콩고는 에볼라 바이러스 진원지다. 지난 1976년 이후 7차례 에볼라 바이러스가 발생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민주콩고 에볼라 바이러스 사망자가 발생하기는 처음이다.

민주콩고 에볼라 환자 사망에 대해 민주콩고의 펠릭스 카방게 눔비 보건장관은 “(북서부 지역에서 이달 중순 이래 13명이나 사망하게 한 괴질에 걸린 환자 8명을 대상으로 표본 검사한 결과) 2명이 에볼라 바이러스 양성반응을 나타냈다”며 “에볼라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서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어 “북서부 지역에서 지금까지 13명이 에볼라 바이러스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중에는 보건 관계자 5명이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펠릭스 카방게 눔비 보건장관은 “다른 환자 11명은 발병 후 격리됐다”며 “사망한 환자들과 접촉한 80명을 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 환자 표본을 최근 에볼라 바이러스와 유사한 증세의 괴질로 70명이 사망한 북서부 에쿠아퇴르 주에서 채취했다”고 덧붙였다.

펠릭스 카방게 눔비 장관은 “이번에 자국에서 발견된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아프리카 일대에 퍼져 1427명을 사망하게 한 것과는 다른 종”이라며 “추가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킨샤사 동북쪽으로 1200km 떨어진 제라 인근의 에볼라 바이러스 발원지에선 확산을 차단해 봉쇄한 상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