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대책 대응로드맵' 발표
2014-08-21 11:10
-VIP 주재, 무역투자진흥회의(8.12) 발표에 7개 핵심사업 대응전략 마련
-경제적 파급효과 12조원, 고용유발 25천명 기대
-경제적 파급효과 12조원, 고용유발 25천명 기대
아주경제 김태형 기자 = 경남도는 지난 8월 12일 VIP 주재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된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대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발표했다.
대응로드맵에는 선택과 집중을 위해 산업 연관효과가 높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는 진해글로벌 테마파크 조성사업 등 7개 핵심사업이 포함됐다.
# 진해 글로벌 테마파크 조성
정부에서 한국형 복합리조트를 조성하기 위하여 올 연말까지 리조트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공모방식의 카지노 허가 사전심사제를 도입하기로 함에 따라, 경남도는 올 연말까지 정부의 복합리조트 종합계획에 글로벌 테마파크를 반영시키고, 내년 상반기까지 테마파크 개발사업자를 발굴하여 공모에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테마파크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 웅동~장유간 국도 건설 등 연계 도로망이 조기에 완공될 수 있도록 국토부에 적극 건의하고, 항만기본계획 반영을 통해 글로벌테마파크 크루즈 전용부두 건설도 추진할 계획이다.
#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
정부에서 환경 규제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의 케이블카 조성 희망지역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설치방안을 마련하기로 함에 따라, 경남도에서는 친환경 공법 적용, 탐방예약제 등 정부 기준에 부합하는 환경 친화적 케이블카 설치 플랜을 마련하여 정부합동 실태조사에 대비할 계획이다.
# 산지관광특구 조성
정부의 산지관광특구제도 도입계획에 따라, 경남도에서는 천혜의 조망을 가진 지리산, 남해안 지역에 자연친화적인 휴양형 숙박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먼저 서부권 지역을 대상으로 산지관광특구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하여 사업대상지를 발굴해 내년 상반기까지 정부에 신청할 계획이다.
# 사천 물류단지 조성
지난 6월 국토부의 제2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에 반영된 사천 물류단지 조성사업이 이번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됨에 따라, 경남도는 국토부의 물류 유통량 실수요 검증통과를 위해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 고성 조선해양산업특구 조성
해양플랜트 설비생산 및 사업면적 확대 등을 위해 특구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는 고성 조선해양산업특구 조성사업은 9월에 지역특화발전특구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대책이 발표됐다.
경남도에서는 중소기업청에서 심의하는 조선해양산업특구 변경안이 원안 가결될 수 있도록 전력 대응할 계획이다.
# 영국 애버딘대 하동캠퍼스 유치
하동 갈사만 조선산단 내에 유치할 계획으로 있는 영국 애버딘대 하동캠퍼스는 이번 정부 발표로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 글로벌 특화 외국교육기관 유치시 인센티브를 최대 4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경남도에서는 해양플랜트산업 전문 연구개발 대학인 에버딘대의 명성도와 유치 파급효과 등 객관적 입증자료를 마련하여 외국교육기관 특별지원 대상사업에 포함되도록 할 계획이다.
# SW 융합클러스터 조성
정부에서는 지역특화산업과 SW융합, SW 전문인력 양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SW 융합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5년간 100억원의 국비를 지원할 계획으로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SW 융합클러스터 사업대상지를 내년 상반기에 선정할 예정이다. 이에 경남도는 성장한계에 직면한 기계․조선 산업과 SW를 융합하고, 항공․나노융합 등 핵심전략산업 R&D 연구과제 발굴을 통해 미래부의 SW 융합클러스터 사업에 응모할 계획으로 있으며, 올 연말까지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 전담기구를 설치하여 지역산업 SW융합 컨트롤 타워를 구축할 계획으로 있다.
유망 서비스산업 7개 핵심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경제적 파급효과가 12조 1천억원에 달하며 고용유발도 2만 5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경남미래 50년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경남도는 기대하고 있다.
경남도 박성재 정책기획관은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대책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국회에서 관련법 개정이 관건이라며, 전국 시도와 공동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