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지적에도 국내 대학 상당수 등록금 카드결제 거부

2014-08-11 07:59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여러 차례 지적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교 3곳 가운데 2곳 이상은 등록금의 신용카드 결제를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삼성·신한·NH농협·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SK카드로 올해 2학기 등록금을 낼 수 있는 대학은 138곳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국 대학 423곳(대학알리미 공시대상 기준)의 32.6% 수준으로, 지난 1학기(109곳)보다 29곳 늘어난 수치다.

등록금을 카드로 낼 수 있는 대학은 삼성(47곳), 신한(35곳), NH농협(34곳), KB국민(26곳), 현대(20곳), 롯데·우리(15곳), 하나SK(7곳) 순으로 집계됐다.

현대카드와 신한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대학이 지난 1학기 때보다 각각 17곳, 12곳 늘면서 증가폭이 커졌다.

그러나 8개 주요 카드를 모두 받는 대학은 단 한 곳도 없어 학생과 학부모의 고충을 외면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들이 등록금을 카드로 받지 않는 문제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서울대는 3개 카드사를 통한 등록금 카드 납부가 가능하다.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이화여대 등은 1개 카드사를 통해서만 등록금을 받고 있다. 특히 고려대와 한양대는 카드사와 가맹점 계약을 맺지 않아 아예 신용카드 결제가 불가능하다. 지난 2002년 대학의 카드 가맹점 가입이 시작됐지만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대학이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이유는 카드사에 가맹점 수수료를 내야 하는 부담 때문이다.

카드사와 대학 간 협의가 잘 되지 않는 탓이 크다. 일반적으로 카드 가맹점 계약을 체결하면 수수료율이 2.5% 안팎이지만 일부 카드사는 1% 중후반대의 수수료를 대학에 적용하고 있다. 이는 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대학의 강경한 입장 때문이다. 또한 카드사들도 다른 가맹점보다 낮은 수수료율을 환영하지 않는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차례 공청회 등을 통한 논의가 있었지만 해결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그간 대학의 공공성 적용 등을 주제로 논의가 있었지만 각자의 입장이 달라 합의점을 찾기가 어려웠다”며 “지금과 같이 등록금의 카드 결제가 어렵다면 대학뿐만 아니라 카드사, 정부 모두 비난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