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하철 화재, 지난 달 동래역 화재 복사판...고압회로 과전류발생으로 화재 추정

2014-07-18 13:23
지하철 노조 "시민 안전 위해 신차 도입과 인력 확보 절실" 요구

지난 17일 부산지하철 1호선 시청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소방대원들이 진압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부산소방본부 제공]


아주경제 부산 이채열 기자 = 지난 17일 오후 발생한 부산 지하철 화재 원인이 주퓨즈와 고속도회로차단기 사이 고압회로의 과전류 발생으로 추진장치가 소손되면서 연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부산교통공사에 따르면, 17일 5시 41분경 양정역에서 시청역으로 향하던 제2234열차의 차량고장은 4호차 주퓨즈와 고속도회로차단기 사이 고압회로의 과전류 발생으로 추진장치(LB1, LB2)가 소손되면서 연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항공철도조사사고조사위원회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정밀 원인조사 중에 있다고 18일 밝혔다.

공사는 지난 새벽 노포차량기지에서 해당열차에 대한 1차 조사를 통해 직접적인 운행불능 원인을 밝혀냈으며, 1호선에 운행하는 45개 전 편성에 대한 과전류 검지 시 고속도회로차단기의 신속한 차단을 위하여 추진장치 제어회로 개조를 오는 25일까지 완료하고, 고속도회로차단기의 동작 설정치 변경작업을 통해 과전류에 대한 대응능력을 높일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공사 관계자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1호선 전동차 리모델링을 전면 확대해 신차수준으로 개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지하철 화재사고로 승객대피 과정에서 9명의 경상자가 발생, 8명은 간단한 치료 후 귀가하였고, 1명은 발목염좌로 입원 치료중에 있다.

부산 1호선 지하철 화재 사고 발생 후 소방대원이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모습.[사진=부산소방본부 제공]


한편, 화재 사고 발생후 18일 부산지하철노조는 긴급 보도자료를 통해 "부산 지하철 1호선의 노후자동차 화재사고는 지난 6월 동래역 화재의 복사판으로 즉각 신차를 도입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노조는 "이번 지하철 사고는 올해 들어 벌써 4번째로, 사고 전동차는 대티역 화재사고 후 대책으로 리모델링을 시행한 전동차로, 노후 차량의 리모델링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노조는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는 노후전동차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대책으로 리모델링(대수선)을 계획하고 약655억 원의 예산을 쓰고 있다. 리모델링을 통해 신차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한다고 공언했지만, 사고는 멈추지 않고 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문제를 안고 있는 회로차단기를 리모델링한 차량이 계속 운행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혔다.

이어 노조는 "1인 기관사로는 초동 대처 불가능하다. 어제와 같은 사고발생시, 기관사는 상황을 파악하고, 관제실에 보고하고, 안내방송과 여러 안전조치들을 해야 한다. 1명의 기관사로는 벅찬 일이다. 그래서 부산지하철에서 사고가 나면 1명의 기관사가 승객 안전을 책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노조 관계자는 "서병수 부산시장은 선거기간에 안전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다면 전동차를 즉시 교체하는 게 마땅하다고 노동조합에 밝힌 바 있다. 반면 6월10일 동래역 화재사고가 발생한 후 전혀 언급이 없다. 서울시는 5월2일에 상왕십리역 사고 후 일주일 만에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 방안을 발표해서 노후전동차 교체시기를 대폭 앞당기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서병수 부산시장은 즉시 신차 도입과 안전 인력 확보 계획을 발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올해들어 부산지하철 1호선 화재사고는 지난 1월 20일 토성역, 5월 21일 범일역, 6월 10일 동래역, 7월 18일 시청역 등 4차례에 걸쳐 발생했다. 현재 부산지하철 전동차 노후화는 20년 이상 노후전동차가 300량으로 전체 83%이며, 그 중 25년 이상 차량이 186량으로 전체 5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