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터키 FTA, 서비스·투자 수출…"맞춤형 접근 필요"
2014-07-08 16:21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의 순방을 발판 삼아 중앙아시아 핵심요충지의 경제협력 주춧돌을 마련한 가운데 한·터키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이 제3국 블루오션 확보에 시너지를 더할 전망이다.
하지만 해외시장 기초가 제법 튼실한 대기업 외에도 전문인력과 현지 기반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의 현지화를 위한 정부 지원도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8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제7차 한·터키 FTA 협상에서 서비스·투자 분야 협정문의 잔여쟁점과 서비스 양허 및 투자 유보 협상에 합의하면서 ‘실질적 타결’을 이뤄냈다.
‘포괄적이고 수준 높은 FTA’로 격상된 이번 타결은 양국 간 경제협력관계의 돈돈함과 더불어 터키 시장 투자 및 기업들의 현지 진출기회가 더욱 다양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관세청이 발표한 ‘한·터키 FTA 발효 전후 현황’을 보면 지난해 5월 1일 발효 이후 교역량은 67억6000만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년인 51억7000만달러보다 30.8% 늘어난 수준이다.
현재는 관세가 철폐된 합성수지·철강판·석유화학 원료·TV 부분품·섬유·의류제품 등이 대부분이나 터키 최초의 서비스·투자 개방은 무역수지 흑자에 상승 곡선을 더할 것으로 여기고 있다.
예컨대 국내 영화·방송사들은 터키에서 내국인 대우로 콘텐츠를 판매할 수 있고 게임업체들의 수출 전선에도 큰 효과를 불러 올 수 있다.
특히 이번 타결에는 영화 배급, 합작공연, 인쇄, 출판, 국제회의, 영화, 비디오 제작 배급, 음반 제작 등이 대거 포함돼 또 하나의 한류 열풍은 경제적 이득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판단이다.
나아가 중앙아시아와 유럽의 교두보인 터키를 중심으로 제3국 향한 진출을 도모, 우리 경제 DNA가 혁신을 이룰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측은 “한국 기업의 터키 진출이 더욱 확대되고 다양화될 것”이라며 “한·터키 FTA 서비스·투자 협상은 제조업, 광업 중심에서 운수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등 서비스업 확대로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기업들은 기대 반 근심 반이다. 현지 지역사정에 따른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나 선 굵은 대기업과 달리 중소·중견기업들은 전문인력 부족을 고충으로 꼽고 있다.
더욱이 터키시장은 유럽과 이슬람 문화가 혼재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또 현지화 전략을 위해서는 노동자 수급 부족 등을 파악, 현지 노동인력에 대한 재교육도 병행돼야하는 실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중소·중견기업의 전문인력 부족 해소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주재원 사관학교’가 그 대안으로 일반교양, 현지인과 네트워크 구축, 현지인 관리능력 제고, 현지 유통망 확보 등 현지전문지식 중심의 수요자 맞춤형 교육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