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공동성명·기자회견에 '일본 과거사 언급' 빠져

2014-07-03 21:07
부속서에만 "위안부 공동연구" 언급…日과 외교마찰 파장 고려한듯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3일 정상회담 공동성명과 공동기자회견에서 일본 우경화와 관련한 언급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애초 정상회담 전에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 담화' 검증과 집단자위권 행사 추진을 위한 헌법해석 변경 등 일본의 우경화 움직임에 대해 양 정상이 '경고 메시지'를 보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빗나간 것.

양 정상의 정상회담 후 발표된 공동성명 본문에는 역사 왜곡과 관련한 언급은 아예 없었다.

일본을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누가 보더라도 일본의 역사 왜곡을 지적한 1년전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에 비춰보면 '예상 밖' 결과다.

당시 양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특히 최근에는 역사 및 그로 인한 문제로 역내국가간 대립과 불신이 심화되는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하고 있는데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역내 신뢰와 협력의 구축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단독·확대 정상회담 뒤 이어진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양 정상이 차례로 회담 결과를 설명했지만,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언급은 역시 없었다.

이를 두고 한·중 정상이 정상회담에서 제3국인 일본에 대해 과거사를 왜곡하고 있다며 정면 비판할 경우, 파생될 수 있는 심각한 대일(對日) 외교마찰을 우려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박 대통령이 2일 방송된 중국 CCTV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고노담화 검증을 '담화 훼손시도'로 규정한 뒤 "국가 간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 일본 외무성 대변인은 같은 날 기자에 대한 답변 형식을 빌려 "유감"이라는 반응을 나타낸 바 있다.

게다가 이날 공동성명에서 "양측은 이 지역의 평화와 협력, 신뢰 증진 및 번영을 위하여 양자·다자 차원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소지역 협력을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고 한 마당에 같은 공동성명에 일본을 자극시키는 부분을 포함하는게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한중 정상은 공동성명의 부속서에서 역사 문제를 언급하는 '우회로'를 택했다.

부속서는 "양측은 역사연구에 있어 주요 연구기관을 포함한 학술계의 사료발굴, 조사·열람, 연구 등 분야에서 상호교류와 협력을 계속 강화하기로 했다"면서 "양측은 관련 연구기관 간 위안부 문제 관련 자료의 공동연구, 복사 및 상호 기증 등에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