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한·중 세미나] 한국의 기술·브랜드+중국의 저가 원자재·인력 시너지 기대
2014-06-23 17:00
한·중 기업인이 바라본 경제협력단지 성공 추진 전략
“중국 내수시장 질의 향상과 민간 경제 체제 확대, 산업 고도화 및 서비스산업 개방화에 도움줄 것이다.”(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23일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새만금개발청의 한·중 세미나에서 양국 기업인·전문가는 새만금에 조성되는 한·중 경제협력단지 조성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보였다. 양국의 협력관계가 공고해지는 시점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황더 지점장은 현재 양국 관계에 대해 수교 이후 ‘최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무역의 경우 지난해 교역액 2742억5000만 달러로 중국은 11년 연속 한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이자 최대 수출시장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며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433만명으로 한국 관광산업의 최대 고객”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은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업종 다원화를 통해 세계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했다. 중국의 비금융 해외직접투자는 2012년 772억2000만 달러, 지난해 901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다.
투자대상국에 대한 기여도 상당하다. 2012년 중국은 투자대상국에 221억6000만 달러의 세금을 냈다. 중국의 해외투자국 현지 고용 규모도 23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새만금의 장점으로 중국기업이 한국의 선진 기술과 경영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것을 우선으로 꼽았다. 47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와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브랜드, 수많은 한국 대기업 진출 및 저렴한 토지가격도 장점으로 꼽혔다.
그는 새만금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방안으로 "단지 내 금융업발전계획을 제정해 금융업계가 기업발전을 지원토록 하고 양국 대규모 금융기관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첨단기술기업과 인재를 유치하고 관련산업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맡으며 첨단기술 산업화를 위한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연구위원도 “한·중 교역은 1990년 29억 달러에서 지난해 2289억 달러로 80배 가량 급증했다”며 “한국의 대 중국 직접투자는 같은기간 약 1600만 달러에서 지난해 51억 달러, 중국의 대 한국 직접투자는 약 10만 달러에서 약 5억 달러로 크게 늘었다”고 강조했다.
또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관계는 선린우호관계에서 전략적 협력동반자로 격상했다"며 "양국 정상간 회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FTA 등 경제·산업 전반의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해외투자 여력도 확대됐다. 중국 외환보유액은 3월 현재 약 4조 달러로 세계 최대 규모다. 한 연구위원은 우수한 입지와 사업 환경을 경협단지의 경쟁력으로 들었다. 환황해권 중심으로 중국·일본 등 동북아 경제권과 소통이 쉽고 토지를 조차하는 중국과 달리 토지소유권을 취득해 자율적으로 부지 개발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황 연구위원은 경협단지의 성공 방안으로 "중국이 저가의 원재료와 현지 근로자를 공급하고 한국은 이를 바탕으로 비용 절감을 이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특히 "중국 물류 등 서비스 산업 발전과 한국 서비스·제조업 경쟁력 제고, 신형도시화 및 전북 지역발전도 동시 추진해야 효과를 낼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