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창조경제 살아야 사물인터넷도 산다
2014-05-21 06:00
이는 좋은 현상이다. 소비자 기호가 그만큼 폭넓게 반영되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지역이나 연령, 성별 등에 따라 소비자 기호를 전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맞춤형태로 제품을 세분화하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기술의 발달이 이것을 가능케 해줬다.
앞으로 갈수록 빅데이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품종 소량화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한 대기업이 다품종 소량을 구사할 수도 있지만 이는 한계가 있다. 다양한 기업들이 각각의 차별화된 제품으로 경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조경제가 구현하려는 것도 바로 그러한 형태이다. 결국엔 벤처와 중소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얘기가 되풀이 된다.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급부상 중인 사물인터넷에서 특히 다품종 소량 구조가 요구되며 우리나라는 여기서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국내 사물인터넷 기술 수준은 단말기 등 하드웨어 일부와 통신 분야의 경쟁력은 높지만 플랫폼, 센서, 보안 등 핵심 분야 역량은 낮다는 지적이다.
특히 센서의 경우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려운 다품종 소량 생산 구조라서 중소‧벤처기업이 적합하지만, 국내 업체 대부분은 원천기술이 미흡하고 영세해 개발인력 확보가 쉽지 않다고 한다.
결론은 우리나라가 미래 사물인터넷 시장을 잡기 위해선 창조경제부터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대기업은 기술 특허를 중소기업과 공유하는 사업을 전개, 바람직한 첫걸음을 내딛었다. 이같은 협업구조가 한층 강화되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가 먼저 공공분야에서 초기시장을 창출해 중소‧벤처가 자생력을 갖추도록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