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주택종합계획] 서울·수도권 집값 1.1% 내리고 전셋값은 6.2% 껑충
2014-04-03 11:01
주택 인허가 7만가구 25% 줄어, 분양물량 29.9만가구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집값은 0.3% 상승했다. 지방이 2.1% 오른 반면 서울·수도권은 1.1% 떨어졌다. 단 서울·수도권은 8·28 대책이 발표된 지난해 9월 이후 올 3월까지 7개월 연속 상승세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85만2000여건으로 전년(73만5000건) 대비 15.8% 증가했다. 2008~2012년 평균 거래량인 85만6000여건과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수도권(36만3000여가구)이 전년대비 33.5% 증가해 지방(48만9000여가구, 5.5%)보다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같은 기간 20.0% 증가했다.
전셋값은 전세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면서 서울·수도권이 6.2%, 지방광역시가 4.1% 각각 올랐다. 서울·수도권 아파트는 8.4% 올랐으며 지난해 7월 이후 예년보다 높은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반면 월세는 서울·수도권(-1.7%)을 포함해 전국이 1.1% 떨어졌다. 집주인의 월세 선호로 물량이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월세 거래량은 지난해 전국 137만여건으로 전년대비 3.7% 증가했다. 임차유형별로는 전세가 83만3000여건(60.6%), 월세 54만여건(39.4%)이다. 월세 거래량은 전년 대비 20.1%나 급증하면서 월세 비중이 1년새 5.4%포인트나 커졌다.
지난해 인허가는 전국 44만가구로 전년(58만7000가구)대비 25.0% 급감했다. 서울·수도권(19만3000가구)이 28.5%, 지방(24만8000가구) 22.1% 각각 줄었다.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은 지난해 전국 29만9000가구로 전년(29만8000가구)보다 소폭(0.3%) 늘었다. 서울·수도권이 전년(10만4000가구)보다 25.0% 늘어난 13만가구를 공급했지만 지방(16만9000가구) 분양물량이 12.9% 줄어든 탓이다.
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은 5만2000여가구로 전년말 7만5000여가구보다 약 30%나 해소했다. 서울·수도권은 같은 기간 3만3000여가구에서 2만9000여가구로 약 4000가구 줄었고 지방 1만9000여가구나 줄어든 2만3000여가구로 조사됐다.
지난해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26조6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증가액은 11조2000억원으로 전년(11조3000억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해말 기준 0.61%로 전년 말보다 0.13%포인트 낮아졌다.
국토부는 지난해 4·1 대책 등이 추진되면서 서울·수도권 주택가격 하락세가 진정되고 주택 거래량도 증가하는 등 회복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분석했다.
단 지난해 7월부터 월세물량은 늘고 전세물량은 줄어드는 전세수급 불균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월세를 선호하는 집주인과 달리 임차인들은 낮은 전세금 대출금리(4%대)와 높은 전월세 전환율(6~10%) 등으로 아직까지 전세를 선호하는 추세다.
국토부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재건축 규제 등 시장상황에 맞지 않는 규제를 정비하고 임대차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할 것”이라며 “민간자본을 활용한 임대 공급체계를 마련하고 월세 증가에 대비해 주거비 부담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