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주택종합계획] 서울·수도권 집값 1.1% 내리고 전셋값은 6.2% 껑충

2014-04-03 11:01
주택 인허가 7만가구 25% 줄어, 분양물량 29.9만가구

연도별 주택매매가(왼쪽) 및 전세가 변동(%). <자료: 국토교통부>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소폭 상승한 반면 전셋값은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수도권에서는 고공행진 중인 전세가격과 달리 매매가는 오히려 떨어졌다. 임대시장에서는 월세의 비중이 점차 커지는 추세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집값은 0.3% 상승했다. 지방이 2.1% 오른 반면 서울·수도권은 1.1% 떨어졌다. 단 서울·수도권은 8·28 대책이 발표된 지난해 9월 이후 올 3월까지 7개월 연속 상승세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85만2000여건으로 전년(73만5000건) 대비 15.8% 증가했다. 2008~2012년 평균 거래량인 85만6000여건과 비슷한 수준이다. 서울·수도권(36만3000여가구)이 전년대비 33.5% 증가해 지방(48만9000여가구, 5.5%)보다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같은 기간 20.0% 증가했다.

전셋값은 전세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면서 서울·수도권이 6.2%, 지방광역시가 4.1% 각각 올랐다. 서울·수도권 아파트는 8.4% 올랐으며 지난해 7월 이후 예년보다 높은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반면 월세는 서울·수도권(-1.7%)을 포함해 전국이 1.1% 떨어졌다. 집주인의 월세 선호로 물량이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전월세 거래량은 지난해 전국 137만여건으로 전년대비 3.7% 증가했다. 임차유형별로는 전세가 83만3000여건(60.6%), 월세 54만여건(39.4%)이다. 월세 거래량은 전년 대비 20.1%나 급증하면서 월세 비중이 1년새 5.4%포인트나 커졌다.

지난해 인허가는 전국 44만가구로 전년(58만7000가구)대비 25.0% 급감했다. 서울·수도권(19만3000가구)이 28.5%, 지방(24만8000가구) 22.1% 각각 줄었다.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은 지난해 전국 29만9000가구로 전년(29만8000가구)보다 소폭(0.3%) 늘었다. 서울·수도권이 전년(10만4000가구)보다 25.0% 늘어난 13만가구를 공급했지만 지방(16만9000가구) 분양물량이 12.9% 줄어든 탓이다.

2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은 5만2000여가구로 전년말 7만5000여가구보다 약 30%나 해소했다. 서울·수도권은 같은 기간 3만3000여가구에서 2만9000여가구로 약 4000가구 줄었고 지방 1만9000여가구나 줄어든 2만3000여가구로 조사됐다.

지난해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26조6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증가액은 11조2000억원으로 전년(11조3000억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해말 기준 0.61%로 전년 말보다 0.13%포인트 낮아졌다.

국토부는 지난해 4·1 대책 등이 추진되면서 서울·수도권 주택가격 하락세가 진정되고 주택 거래량도 증가하는 등 회복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분석했다.

단 지난해 7월부터 월세물량은 늘고 전세물량은 줄어드는 전세수급 불균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월세를 선호하는 집주인과 달리 임차인들은 낮은 전세금 대출금리(4%대)와 높은 전월세 전환율(6~10%) 등으로 아직까지 전세를 선호하는 추세다.

국토부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재건축 규제 등 시장상황에 맞지 않는 규제를 정비하고 임대차시장 구조변화에 대응할 것”이라며 “민간자본을 활용한 임대 공급체계를 마련하고 월세 증가에 대비해 주거비 부담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