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동굴 호수' 속…세계적 희귀 신종어류 서식, 사진보니 신기하네

2014-03-13 13:15
약 6000년전 동굴내부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

▲'용천호수' 속에 약 6000년 전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세계적 희귀 신종어류(아래), 위쪽에 있는 '주홍미끈망둑속'과 달리 머리가 유난히 크고 멜라닌 색소가 퇴화되어 피부색이 옅은 분홍색을 띠며 퇴적한 작은 눈을 가지고 있어 외형상 큰 차이를 보인다. 아울러 제주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주홍미끈망둑'을 포함,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미끈망둑속 어류와도 확실히 다른 미기록종이다.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천년의 호수’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용천동굴 호수’에서 세계적으로 희귀한 신종 어류가 발견됐다.

제주도세계자연유산관리단은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제주대학교(송춘복 해양의생명과학부 교수)와 공동으로 ‘용천동굴 호수생물 및 서식환경 조사’를 지난 2012년 7월부터 올 2월까지 실시한 결과, 용천동굴 호수에 국내 미기록종이며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신종 가능 어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이 어류의 특징으로 제주연안에 서식하는 미끈망둑속(Luciogobius) 어류와 달리 머리가 유난히 크고, 멜라닌 색소가 퇴화되어 피부색이 옅은 분홍색을 띠며, 퇴화된 작은 눈을 가지고 있어 외형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어류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사이토크롬 b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결과, 현재 제주도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유사종인 주홍미끈망둑과 8.9%의 염기서열 차이를 보이고 있어 제주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주홍미끈망둑을 포함,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미끈망둑속 어류와는 확실히 다른 국내 미기록종 어류라는 것을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염기서열 차이가 5% 이상일 경우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

해수면이 현재와 같이 높아진 약 6000년 전에 동굴 속으로 해수가 유입되면서 동굴호수가 만들어지고 이때 어류도 함께 동굴 내부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외부와 고립된 독특한 환경에서 이 어류는 급격한 유전적인 변화를 거치면서 동굴환경에 적응해 온 것으로 추정되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머리 부분이 커지고, 눈이 작게 퇴화됐으며, 피부색이 점차 사라지는 적응진화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
 

▲용천호수 탐사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국제학회 발표 및 논문 게재를 통해 국제적으로 공인받기로 했다.

아울러 일본 시마네현 동굴에 서식하는 유사 동굴 어류종과의 비교분석 연구를 실시, 신종 여부를 규명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희귀하고 독특한 용천동굴어류의 보호를 위해 서식지의 환경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동굴 지표상의 농경지를 조속히 매입할 예정” 이라며 “경작에 따른 비료나 농약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서식지 보전을 포함한 확실한 어류 보호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용천동굴 호수’는 발견된 부분만 길이가 200m 규모다. 배를 띄워도 될 정도의 대규모로, 세계적으로 중요성과 희귀성을 인정 받을 수 있는 대형 용암동굴 호수다.

현재까지 확인된 동굴 호수의 규모는 길이 약 200m, 폭 7~15m, 깊이 6~15m이며, 수면은 해수면과 동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용천호수' 내 용천수 유출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