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안철수, 쌍끌이 대여공세 고삐…관전 포인트는(종합)

2014-03-09 16:31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은 9일 긴급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국정원(국가정보원) 간첩 증거조작 사건의 책임자 처벌과 특검(특별검사제) 도입을 촉구하며 쌍끌이 대여공세를 폈다.

이들은 또 △의료공공성 강화를 위한 사회적 협의체 구성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약속 등을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촉구했다. 이는 정권심판론 구도를 띄우면서 프레임(구도) 전쟁을 본격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원 간첩 증거조작 사건과 관련, “국정원이 민주주의와 사법질서를 뒤흔들고 있다”며 “정부 스스로 중립적인 특검을 임명해서 한 점 의혹을 남기지 않겠다는 자세를 가져달라”고 맹공을 날렸다.

의료계의 집단 휴진에 대한 대안도 제시했다. 안 위원장은 “사태의 근본적 원인은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박근혜 정부에 있다”고 비판한 뒤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 중단 △여야정과 의료단체·전문가·가입자단체 등이 포함된 ‘의료공공성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임종훈 청와대 민원비서관의 새누리당 기초선거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 날 선 비판을 가했다.

이들은 “새누리당이 주장한 상향식 공천의 허구가 드러난 것”이라며 “새누리당은 지금이라도 기초선거 공천 폐지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압박했다.

‘거짓정치 대(對) 약속정치’ 구도에 드라이브를 건 셈이다. 이는 여당의 야합연대 비판에 맞서 ‘선의’를 바탕으로 한 새정치를 승부수로 띄운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6·4 지방선거가 야권대통합의 시험대라는 점을 부각시킨 차별화 전략이다.

하지만 통합신당의 반(反) 새누리당 전략이 유효할지는 미지수다. ‘민주 대 반 민주’ 구도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적지 않아서다.

실제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의 이날 기자회견에는 특별한 내용이 없었다. 특검과 기초선거 폐지 약속 이행 등은 그동안 야권이 주장했던 내용을 반복한 재탕에 불과했다. 양측의 공조행보가 여야 긴장관계를 겨냥한 통상적인 기자회견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통합신당이 이번 주부터 정강정책 논의에 돌입, 내부 이념갈등과 노선투쟁이 본격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여공세의 칼날이 무딘 상황에서 양측 내부에서 공천과 신당 이름 등 통합 각론을 놓고 자중지란을 겪을 수 있다는 얘기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이날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통합신당의 가장 큰 문제인 폐쇄성과 경직성을 탈피하고 진보적 자유주의 노선이 아닌 중도 노선을 선택할 수 있느냐”라며 “모든 공은 야권에 넘어갔다. 야권이 스스로 답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