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한 1월 고용지수, 美 경제에 어떤 영향… 연준의 선택은?

2014-02-09 14:45
재닛 옐런, 이번주 첫 의회 증언 '주목;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미국의 1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단 부진한 성적을 냈다. 미국 경기회복에 모멘텀을 줄이고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 의장에게 첫 과제를 안겨줬다. 그러나 실업률은  5년래 최저치로 떨어졌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연준 목표치에 바짝 다가간 실업률은 일말의 희망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미 노동부는 7일(현지시간)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자수가 11만3000명을 기록했다. 이는 블룸버그 전문가 전망치인 18만개보다 크게 못미치는 수치다. 실업률은 지난해 12월 6.7%에서 6.6%로 떨어졌다. 지난 2008년 10월 이후 최저치다. BNP파리바의 줄리아 콜로나도 이코노미스트는 "실망스럽지만 절망적이진 않다"면서도 "이륙 단계가 아닌 혼란스런 지역에 머물러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미국 경기 회복이 탄력 받을 것이란 전망은 시험대에 올랐다. 신흥시장의 자금이탈이 우려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감을 조장했다. 또한 경기지표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지난해 최고치를 경신했던 증시도 올해 들어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 1월 한달간 다우지수는 5.3%, S&P500 3.6%, 나스닥 1.7%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12월 한파로 인해 얼어붙은 고용시장이 1월에도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업률이 하락은 직업을 잃은 사람보단 얻은 사람이 많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고용시장의 참여율은 62.8%에서 63%로 올랐다. 이날 고용지수가 발표된 후 뉴욕 S&P500 지수는 1% 가량 올랐고 10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4bp 하락한 2.66%에 머물렀다. 

HSBC의 케빈 로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고용지수가 위기의 신호는 아니다"며 "다음달에 신규고용 수가 15만 명을 넘지 못한다면 그때부터 걱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이번주 의회에서 증언할 예정이다. 의장으로써는 첫 증언이다. 옐런은 지난 두 달간 부진한 고용지수에 대한 옐런의 시각과 앞으로 방향성을 전한다. 실업률은 연준이 정책을 결정하는데 주요 배경이 된다. 그동안 연준은 지난해 12월, 올해 1월에 연이어 양적완화를 100억 달러씩 축소했다. 이번달 양적완화 규모는 650억 달러다. 

전문가들은 이번 고용지표가 연준의 출구전략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즉 오는 3월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양적완화를 추가 축소할 것이란 얘기다. 이번 고용지표가 정책방향을 바꿀 만큼 부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2월부터 고용시장이 활기를 얻을 것으로 전망, 3월 회의 때까지 불확실성이 제거될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연준의 '선제적 안내'를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2.5%, 실업률이 6.5%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었다. 이번에 실업률이 6.6%로 떨어졌기 때문에 '선재적 안내'대로면 기준금리를 인상할 때가 온 것이다.

그러나 양적완화를 축소하는 마당에 금리 마저 인상하면 경기 회복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불안해질 투자자에게 초저금리를 유지할 것이란 안전장치를 확인해 줄 필요가 있다. 로이터는 연준이 선제적 안내에 표기된 구체적 수치를 아예 뺄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