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 1급 인사 임박…술렁이는 관가

2014-01-09 13:46
기재부·산업부 등 경제부처 우선 순위
각 부처별 2명 이상 인사 대상에 포함

아주경제 배군득ㆍ이규하ㆍ김선국ㆍ신희강 기자 = 총리실 1급 고위직 인사 폭이 예상보다 커지면서 중앙정부부처가 술렁이고 있다. 특히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경제부처들의 고위직에서 긴장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9일 오전, 대부분 경제부처가 들어선 정부세종청사는 전날 총리실 1급 인사에 대한 얘기가 이슈로 떠올랐다. 통상적으로 고위 공무원 인사가 2~3명 내외라는 관행에서 벗어나 5명이 자리를 옮겼다는 사실에 충격적인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일부 부처에서는 벌써부터 인사가 유력한 1급 고위직에 대한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모 부처 L실장은 이미 장관 눈 밖에 나 있어 인사 1순위로 꼽히는 상황이다.

인사 대상만큼 승진에 대한 관심도 높다. 세종청사 한 부처는 A국장은 지난해 인사가 소폭에 그쳤기 때문에 올해 1급 승진을 내심 기대하는 눈치다.

세종청사 한 부처 국장급 관계자는 “인사 후폭풍이 거셀 것이라고 예상은 했지만 이정도 수준인 줄 몰랐다”며 “총리실 인사 폭을 볼 때 각 부처별 2~4명까지 대폭 물갈이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대부분 부처가 지난해 인사가 적었다. 이로 인해 올해 승진을 기대하는 국장급이 많을 것”이라며 “외부 파견 직원들의 복귀도 치열한 승진 경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분위기로 볼 때 각 부처별 1급 공무원 50% 가량이 인사 대상으로 분류되고 있다. 총리실 기준으로 10명의 1급 가운데 5명이 인사 조치된데 따른 연쇄 반응인 셈이다.

기획재정부 1급은 지난해 승진한 방문규 예산실장(28회)을 제외하고 최원목 기획조정실장과 김낙회 세제실장이 행시 27회다. 비서실장은 지난해 하반기 인사에서 최상목 국장을 내정했기 때문에 이번 인사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수순대로라면 예산실과 세제실, 기조실 1급이 모두 인사 대상에 포함된다. 세제실은 지난해 9월 세법개정안에서 중산층 기준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발표 일주일 만에 정책을 수정하는 등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이번 인사에서 가장 유력하게 점쳐지는 대목이다.

이번 인사가 MB정부 인물의 교체 성격이 짙다는 부분을 볼 때 기조실도 안심할 수 없다. 최 실장은 지난 2012년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을 역임했다.

기재부는 1급뿐만 아니라 국장급과 과장급에서 대거 인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소폭 인사로 인한 정체가 극심하다는 게 기재부 안팎의 반응이다.

산업부는 실장급 이상 1급 인사에 대한 인사가 빠르면 2월 말에서 늦으면 4월 초 안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지난해 3월 새로 출범한 이후 일부 고참급 과장의 국장 승진이 지체되고 일부 고위직의 외교부 복귀가 예상되면서 후속인사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옛 외교통상부 출신이 맡고 있는 2차관 소속 개방형 직위(국장급) FTA정책관과 통상정책심의관 임기가 이달 말 끝나는 것도 인사 폭이 커질 수 있는 이유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아직까지 사의를 표명한 1급 공무원은 없다”며 “다만 전 부처에서 1급 상당수가 교체된다면 산업부도 여파를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경제민주화의 본격적인 시행업무를 스타트할 계획인 만큼 부위원장 임명 등 순차적인 후속인사가 이달부터 단행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2일 정재찬 전 부위원장이 35년 8개월간을 공직생활과 3년의 부위원장 임기를 마쳤고 안영호 상임위원도 오는 13일 임기를 마무리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면에 나설 장관을 보필하고 안살림을 챙기는 등 내조에 나설 ‘넘버2’ 차관급 자리를 놓고 각종 설이 난무하다. 유력 후보로 거론되던 공정위 1급 간부 A씨는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 인사 압력 혐의로 경찰 조사에 소환되면서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공정거래부위원장 자리는 공정위의 안살림을 책임지고 공정위 직원들을 독려하는 등 내부에서 차근차근 쌓아 올린 인물을 선호한다. 공정위 안살림은 가급적 외부 인사보다는 내부 승진자가 노대래 위원장의 정무 활동을 보필하고 직원들의 사기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산하기관 포함 5명의 1급 또는 1급 상당 고위직 가운데 2~3명이 인사 대상으로 유력하다. 해양수산부 역시 5명의 1급 중 2명 이상의 인사이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