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남순 기획운영단장 "세계적 작품 소장? 꿈 빨리 깨야" 돌직구
2013-10-22 19:56
"올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구입예산 31억..기증 활성화돼야 가능"
윤남순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운영단장. |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세계적인 작품이 있으면 좋겠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빨리 깨야한다."
윤남순 국립현대미술관 기획운영단장이 국립현대미술관에 데미안허스트·피카소등 동시대 유명작가의 소장품이 없다는 지적과 관련 돌직구를 날렸다.
22일 서울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윤 단장은 “올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 구입 예산은 31억원이었다"면서 "미술품 구입에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 단장은 "그나마 내년 예산은 5억이 늘어 36억으로 20% 증액됐다"면서 "솔직히 말하면 예산으로 몇 백억 짜리 작품을 살 수 있는 여건은 10년 내에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수는 7000여점.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은 15만여점, 영국 테이트모던과 프랑스 퐁피두센터도 각각 7만여점의 소장품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수치. 개인이 운영하는 리움미술관보다 볼 그림이 없다는 불만이 제기되는 이유다.
해외 미술관과 비교해 국내 미술관의 소장품이 빈약한 것은 기증 부족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1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성호 의원(새누리당)이 문화체육관광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가 제기됐다.
박 의원에 따르면 뉴욕현대미술관이나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의 경우 소장품의 80% 이상이 기증품이며, 지난 4월에도 에스티로더의 레너드 로더 명예회장이 피카소 33점, 브라크 17점, 레제 14 등 거장의 작품을 포함한 10억달러 상당의 미술품을 기증한 바 있다.
외국에서는 공공기관과 비영리 기관에 미술품을 기증할 시 세제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해 적극적으로 기부를 유도한다. 반면 국내에서는 기부금품 모집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어 기업에 기부를 요청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이날 국립현대미술관 장엽 학예연구 2팀장은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며 "국립현대미술관이 동시대 유명 미술작가 데미안 허스트의 작품을 한 점 소장한다고 해서 세계적인 미술관이 되는 것은 아니다"는 소신을 밝혀 주목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