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6·25 사이버 공격 조사 결과 북한 IP 발견”
2013-07-16 15:02
“북한 과거 해킹수법과 일치”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정부가 6.25 사이버공격에 대한 조사 결과 북한 IP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정부 민·관·군 합동대응팀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일 사이 발생한 방송·신문사 서버장비 파괴, 청와대.국무조정실 등 홈페이지 변조, 정부통삽전산센터 디도스 공격, 경남일보 등 43개 민간기관 홈페이지 변조 등 69개 기관·업체 등에 대한 연쇄적인 사이버공격이 3.20 사이버테러 등을 일으킨 북한의 해킹 수법과 일치한다고 16일 공개했다.
민·관·군 합동대응팀은 미래부·국방부·안행부민·관·군 합동대응팀은 법무부, 금융위, 국정원, 경찰청, 안랩민·관·군 합동대응팀은 하우리·이글루시큐리티·윈스테크넷·KT 등 국내보안업체 및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18개 기관 전문가로 구성됐다.
이번 사이버 공격의 피해장비 및 공격경유지 등에서 수집한 악성코드 82종과 PC접속기록, 공격에 사용된 인터넷 주소와 과거 북한의 대남해킹 자료 등을 종합 분석한 결과 공격자는 최소 수개월 이상 국내 P2P.웹하드 서비스, 웹호스팅 업체 등 다중 이용 사이트를 사전에 해킹해 다수의 공격목표에 대한 보안 취약점을 미리 확보하는 등 치밀하게 공격을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통합전산센터 DNS서버를 공격해 다수의 정부기관 인터넷 서비스를 일시에 마비시키려 하고 좀비 PC를 이용한 디도스 공격 외에도 해외로부터의 서비스 응답으로 위장한 공격을 활용하는가 하면 공격대상인 서버의 하드디스크를 파괴하고 공격 IP 은닉수법을 통한 흔적 위장과 로그파일 삭제를 통해 해킹 근원지 추적을 방해하는 등 다양하고 진화된 공격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사이버공격은 청와대·국조실 등 상징성이 큰 국가기관의 홈페이지를 변조시켜 국격을 훼손하고 홈페이지 변조 등에 어나니머스 이미지를 사용해 공격주체 판단에 혼란을 줬다.
조사결과 6·25일 서버파괴 공격을 위해 활용한 국내 경유지에서 발견된 IP와 7.1일 피해기관 홈페이지 서버를 공격한 IP에서 북한이 사용한 IP가 나타났다.
해커는 경유지 로그를 삭제하고 하드디스크를 파괴했지만 포렌식 및 데이터 복구를 통해 북한 IP임을 확인했다.
서버를 다운시키기 위한 시스템 부팅영역(MBR) 파괴, 시스템의 주요파일 삭제, 해킹 결과를 전달하기 위한 공격상황 모니터링 방법과 악성코드 문자열 등의 특징은 3·20사이버 테러와 같았다.
이번 홈페이지 변조 및 디도스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 역시 3.20 사이버테러 시 발견된 악성코드의 변종된 형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민.관.군 합동대응팀은 이번 사이버공격을 초기에 파악해 악성코드를 삭제하고 악성사이트를 차단하는 등 피해 확산을 방지하고 치료백신 개발.보급과 사이버대피소 가동을 확대해 서버 복구를 긴급 지원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했다.
69개 피해기관 중 62개 기관은 정상복구가 끝나 복구율은 90% 수준이다.
정부는 일련의 각종 사이버위협에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 4일 마련한 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을 바탕으로 사이버안보 컨트롤 타워인 청와대를 중심으로 국정원, 정부부처간 위협정보 적시 공유 등 사이버위협 대응체계를 확립, 사이버 위협 조기 경보 기능과 동시 상황전파 체계를 구축하고 지능화되고 있는 사이버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첨단 대응기술 연구 및 전문인력 확충 등 사이버안보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사이버테러가 공공·민간기업 구분없이 무차별적으로 자행됐고 앞으로도 유사한 사고가 지속 발생될 것으로 우려되면서 민간기업도 보안 전담인력.조직 확보 및 중요자료의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보안조치를 이행하고 일반인들도 개인 PC와 스마트폰에 최신 백신을 설치하는 등 특별히 보안관리에 유념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인기 기사]
- ▶베복 출신 한애리 누구? "턱뼈 깎는 수술 중 과다출혈로…"
- ▶미운오리새끼가 오리구이로?…중국 '잔혹동화' 괜찮나
- ▶강예빈 이기적인 비키니 몸매, 라인이 예술
- ▶박한별 中기자회견 중 '세븐 안마방' 질문에…
- ▶4·1대책 100일, 서울 아파트 시총 3조5000억 증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