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석탄업계 침체 언제까지…올 재고량 5억t 돌파전망
2013-05-28 14:03
[사진출처=신화사] |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중국 석탄업계가 회복세를 보이기는 커녕 점점 침체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중국 석탄업계가 생산과잉 문제의 해결점을 찾지 못하면서 석탄 재고량이 올해 5억t에 육박할 전망이라고 21세기징지바오다오(經濟報道)가 27일 보도했다.
석탄업계 관련인사는 “시장수요가 한풀 꺾인 상황에서 생산과잉 문제가 더욱 심화됐다”면서 “올해 업계 전체의 재고량이 5억t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중국 석탄업계는 10년간의 황금기에 마침표를 찍고 악화일로를 걸어왔다.
가격하락에 따라 산시성내 석탄업체의의 1분기 누적이윤도 동기대비 48억2400만 위안 감소한 65억2200만 위안에 머물렀다. 이는 동기대비 무려 66.98% 감소한 것이다. 심지어 중국 5대 석탄 국유기업 중 3곳이 적자를 보였으며 매출규모 500만 위안 이상 석탄기업의 올 1,2월 이윤도 34.86% 감소했다.
신문은 이에 대해 석탄업계의 과도한 투자가 초래한 생산과잉현상, 석탄 수입량 증가로 공급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수력발전 증가 등 환경보호를 위한 대체에너지 사용확대, 시장 경기악화 등 영향으로 수요는 감소해 가격하락과 수익감소를 초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석탄업계의 부진은 중국 각 지방정부의 재정수입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산시성의 경우 올해 1분기 석탄업계 세수가 동기대비 7.02% 감소한 268억9800만 위안에 그쳤다. 이에 따라 각 지방정부는 감세정첵, 석탄 시장가격조정기금 조성, 심지어 석탄 수입제한 등 석탄업체 회생을 위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지방차원이 아닌 국가적 차원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석탄업계 전문가인 리팅(李廷)은 “석탄 수입관세를 인상해 석탄업계를 보호해야 한다”면서 “석탄은 수입진입장벽이 없어 수입량이 급증하는 추세며 수입제품 중 저급석탄 비중이 커 환경오염까지 초래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