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미래 경영리더> ‘상생’·‘융합’ 통해 부가가치 창출하라

2013-04-28 15:46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철학, ‘근혜노믹스’의 핵심 테마인 창조경제는 앞으로 5년간 정부의 경제운용 패러다임이 되는 만큼 기업들도 창조경제에 부응하는 창조경영을 어떻게 펼쳐 나갈 것이냐에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문제는 창조경제의 의미가 피상적이고 경계가 없는 막연한 개념이기 때문에 “이렇다”고 규정짓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삼성경제연구소는 창조경제시대 기업의 과제로 인재육성, 이종산업 간 융합, 정보기술(IT)을 통한 인프라 고도화, 대·중소기업 간 상생 등을 제시했다. 한국경제연구원도 ‘창조경제의 성공조건’으로 창조인재 확보, 융합·통섭의 연구개발·사업화·인프라구축·대·중소기업 상생구조의 장착, 지식재산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장은 ‘창조경제’를 협의의 개념으로 ‘창조산업 육성을 통한 경제성장’을 뜻하며 광의의 개념은 경제 전반의 성장 능력을 높이는 새로운 성장 전략 또는 패러다임으로 구분했다. 노동과 자본의 양적 투입에만 의존하던 외연성장 체제에서 인적자본·기술혁신력 등에 기반을 둔 내연성장 체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새 정부의 창조경제는 경제사회 전반의 혁신을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광의의 창조경제에 해당한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각 기업들은 아직 구체적이진 않지만 ‘상생’과 ‘융합’ 두가지의 큰 줄기로 나눠 창조경제의 이론적 틀을 세워가고 있다. 전자는 중소기업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 모두와의 협력을, 후자는 ‘따로 또 같이’라는 개념에 따라 이업종간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대기업 임원은 “현재 각 기업들이 큰 틀에서 창조경제의 방향성을 맞춰 나가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를 시현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논의는 미래창조과학부를 비롯한 정부의 가이드라인 또는 지향점이 윤곽을 드러내는 데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