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자동차협회, 광저우시 강력비난 이유는?

2012-07-12 13:21

아주경제 베이징 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의 자동차공업협회가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시의 자동차구입제한정책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중국의 한 협회가 지방정부의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중국의 토종자동차업체들의 불안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가 개최한 자동차업계데이터발표회에서 협회의 상무부회장이자 비서장인 둥양(董揚)은 “광저우의 구매제한정책은 공산당 중앙의 안정성장, 내수촉진정책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것”이라며 “광저우는 자신만을 고려한 채 국민경제라는 대국을 보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고 인터넷매체 왕이(網易)가 12일 전했다. 둥 비서장은 이어 “자동차업계는 중국의 고용 12%, 세수 13%, 소비의 10%를 담당하고 있다”며 “자동차업종의 국민경제 파급효과를 결코 소흘히 여겨서는 안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광저우시는 지난달 30일 구매제한령을 전격 발표하고 7월1일부터 적용했다. 이에 따라 광저우에서는 신차판매는 한달에 1만대로 제한된다. 둥 비서장은 “베이징(北京)이나 상하이(上海)의 구매제한정책은 모두 국무원 각부분의 의견을 구한 후에야 실시됐지만, 광저우의 경우는 국무원의 어느 부서와도 협의를 거치지 않았다”고 절차상의 하자도 함께 지적했다.

광저우시는 연간 약 30만대의 자동차가 판매된다. 이번 구매제한 정책으로 약 20만대의 자동차판매가 감소하게 된 셈이다. 수량으로 보면 그리 크지 않지만 협회가 우려하는 것은 구매제한정책이 기타 지역으로 퍼져가는 것이다.

협회 부비서장인 야오제(姚潔)는 “광저우의 구매제한령이 기타 도시로 확산된다면 중국 자동차업계는 막대한 타격을 입을 것이며 업계의 기반 자체가 흔들릴 것”이라면서 “최악의 경우 업계 전체가 침몰할 수도 있다“고 짙은 우려를 표했다.

자동차가 급증하면 도로정체가 심화되고 공기오염문제가 발생한다. 시민들의 삶의 질 제고 차원에서 지방정부로서는 충분히 꺼내들 수 있는 카드다. 게다가 자동차 판매가 지방정부 세수에 끼치는 공헌도도 미미하다. 둥양 비서장은 “자동차 생산과 판매에서 나오는 세금은 대부분 국세로 편입된다”면서 “반면 구매제한령으로 인해 차량번호판 경매 수익은 광저우의 경우 매년 20만위안을 넘길 것”이라고 말했다.

2011년 기준으로 중국에서 차량 보유대수 100만대 이상인 도시는 14곳이다. 또한 허페이(合肥), 우루무치(烏魯木齊), 인촨(銀川) 등 10곳 도시에서의 자동차보유대수 증가율이 20%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선전(深圳)이나 청두(成都), 항저우(杭州)같은 도시들에서의 차량정체가 심한 편이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차량구매제한정책이 나올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구매제한령 확산이 중국의 토종 업체들에게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분석했다. 어렵사리 차량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은 소비자들이 토종차보다는 고급차 구매를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에서 지난해 구매제한정책을 편 이래로 체리(奇瑞), 샤리(夏利), 지리(吉利), 화천(華晨), 비야디(比亞迪) 등의 주요 토종브랜드들의 베이징내 판매량이 30% 이상 감소했다.

게다가 중국에서는 합자브랜드의 생산규모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둥펑(東風)닛산이 15만대 규모의 공장을 건설중이며, 둥펑웨다(悅達)기아의 3공장이 30만대규모로 건설중이다. 베이징현대차의 3공장은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둥펑혼다의 제2공장도 7월달에 가동된다. 둥양은 비서장은 “외자기업들 역시 이제는 치열한 경쟁에 휘말릴 것이고 가격경쟁을 벌일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토종기업들의 목을 죄어갈 것”이라며 대책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