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 "정부가 국내기술 적용된 LNG선 발주해줘야"

2012-01-16 15:21
조선업계, 1조5000억원 거품 낀 GTT 인수 난항<br/>첫 트랙 레코드가 절실한 상황, 정부 발주 요청

(아주경제 이대준 기자)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사진)이 GTT 인수건을 해결할 새로운 방안으로 정부의 LNG선 국내 발주를 제시해 눈길을 끈다.

한국조선협회 회장이자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인 남상태 사장은 최근 기자와 만나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LNG선 화물창 기술이 첫 트랙 레코드(실적)가 없어 실제 적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가 국내에서 개발된 기술이 적용된 LNG선을 발주해주면 고마울 것”이라고 말했다.

GTT 인수건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조선업계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매물로 나온 GTT사는 LNG선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할 탱크를 만드는 원천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대다수의 멤브레인형 LNG선이 GTT 특허를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GTT의 인수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인수가격이 약 1조5000억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거품이 심하다.

그렇다고 중국 업체들이 인수하도록 내버려두자니 향후 로열티 부담이 커질 수 있다. LNG선 건조시 GTT에 지불해야 하는 로열티는 척당 100억원 가량인데, 인수 업체가 이 가격을 더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기술력 향상도 우려되는 측면이다.

이에 거론되고 있는 방안이 국내 조선업체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으로 인수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이 역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쉽지 않은 상황이다.

LNG선 화물창 기술은 삼성중공업, STX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각각 독자 개발한 상태다. 현대중공업은 기술을 개발 중이다. 문제는 실제로 LNG선에 관련 기술을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주들은 새로운 변화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안정적인 것을 추구한다. 지금까지 별 무리없이 적용되던 GTT 기술을 버리고,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LNG선 화물창 기술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리스크가 동반된다. 때문에 실적(수주)을 통한 검증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결국 남 사장은 정부가 국내 조선업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흑기사로 나서 줄 것을 요청한 것이다. 굳이 국내 조선업체들이 힘들게 GTT를 인수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는 설명이다.

지금까지 정부(한국가스공사)는 국내 조선업체에 21척의 LNG선을 발주했다. 1호선은 1994년 현대중공업이 건조해 현대상선이 운영하도록 했다.

각 조선업체별로는 현대중공업 8척, 대우조선해양 6척(공동 수주 1척 각각 포함), 한진중공업 5척(공동 수주 1척 각각 포함), 삼성중공업 3척이다. 이 가운데 대우조선해양과 한진중공업이 1995년에 인도한 LNG선은 공동 수주해 각각 실적에 반영됐다.

STX조선해양과 현대삼호중공업은 국내에서 LNG선을 수주한 적이 없다. 성동조선해양, SPP조선, 현대미포조선 등 LNG선 건조 경험이 전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