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육의 화기애애(畵嗜愛愛)> 한 사내의 삶 속에 끊임없이 불었던 강바람
2012-01-09 08:31
②최북, <한강조어도>
최북, <한강조어도(寒江釣魚圖)>, 조선 후기, 42.5×27.8cm, 국립중앙박물관 |
‘사계산수도’ 한 작품 더 감상하실까요?
최북(崔北:1712-1786)이 그린 <한강조어도(寒江釣魚圖)>입니다. 여기에서 ‘한강’은 서울에 있는 한강이 아니라 ‘추운 강’을 뜻합니다. 이 작품 역시 《사계산수도》중의 한 폭입니다.
같은 겨울 풍경을 그리는데 김유성과 최북이 대상을 선택하는 기준이 다릅니다. 차분하게 눈 내린 선비집의 풍경이 김유성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면, 최북한테는 강에서 낚시질하는 사람이 더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작가가 붓을 들 때 세상 모든 만물을 다 그릴 수는 없습니다. 마음에 가장 끌리는 대상을 그리기 마련입니다. 어떤 대상을 그렸는가를 보면 작가의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한들 작가의 마음이 움직이지 않았다면 그리지 않았겠지요. 최북이 누굽니까? 스스로 ‘붓으로 빌어 먹고 사는 사람’이라는 뜻을 담아 ‘호생관(毫生館)’이란 호를 쓴 사람이 아니겠습니까? 거들먹거리는 양반이 그림을 요구하자 자신의 눈을 찔러 버리면서까지 단호하게 거절했던 사람입니다.
그는 기이한 행동과 예측할 수 없는 성격 때문에 ‘미치광이(狂生)’라고 손가락질을 받았습니다. 금강산 구룡연에 가서는 ‘천하 명인이 천하 명산에서 죽어야 한다’는 말을 남기며 연못에 투신하는 소동을 벌일 정도로 돌발적이었습니다. 그는 ‘호생관’ 외에도 거기재(居基齋)·삼기재(三奇齋)·성재(星齋)·기암(箕庵)·기옹(奇翁)·좌은(坐隱)·반월(半月) 등의 다양한 호를 사용했습니다.
‘성스러운 그릇’이라는 뜻인데 소리만 들어서는 ‘성기(性器)’라는 단어와 혼동하기 십상입니다. 이렇게 자의식이 강하고 괴팍한 사람이었으니 아무리 주문에 의해 그림을 그렸다 해도 소재는 최북 자신이 선택했을 것입니다.
원래 <한강조어도>는 당나라 시인 유종원(柳宗元:773-819)의 「강설(江雪)」이란 시의 마지막 구절 ‘독조한강설(獨釣寒江雪)’을 형상화한 ‘시의도(詩意圖)’입니다. 삿갓과 도롱이 쓴 늙은이가 외로운 배를 타고 홀로 낚시질하는데, 차디찬 강에는 눈만 내린다는 내용입니다. 최북의 마음이 꼭 그랬을까요? 고독한 사내 최북의 삶에 어지간히 세찬 강바람이 불었던 모양입니다. <미술사학자/blog.daum.net/sixgar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