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하반기 경영전략 수정 불가피

2011-08-09 15:00
-미국발 위기, 국내 주요산업에 영향

(아주경제 이하늘·이재영·김형욱·김병용·강규혁·신승영 기자) 미국 신용등급 하락과 유럽 재정위기로 인해 글로벌 경제의 하반기 경기반등이 불투명해졌다. 이에 한국 산업계도 하반기 경영전략 및 목표 수정을 피할 수 없게 됐다.

9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자기업들은 이중고에 빠졌다.

◇ 전자업계, 부품·완성품 모두 위기

반도체와 LCD 등 한국의 주력 부품 가격은 사상 최저치를 연달아 갈아치우고 있다. 7월 하반기 D램 가격은 0.75달러로 하락했다.(D램익스체인지) 8월 초 40~42인치 LCD TV용 패널은 231달러로 전기 대비 6달러 떨어져 최저치를 경신했다.(디스플레이서치)

여기에 주요 시장인 미국의 소비심리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 역시 재정위기가 다시 불거지면서 시장이 냉각될 것으로 우려된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주일 동안 주가가 급락하고 시장이 경색되고 있어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아직 전략 수정을 결정하지 않았지만 이같은 위기가 장기화 될 경우 2008년에 이어 시나리오 경영을 다시 펼쳐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 자동차, 하반기 위기속 日 반격까지

올 상반기 전년 대비 15.1%의 수출 성장을 거두며 최고의 성적을 거둔 국내 완성차 업계도 하반기 실적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유럽 등 선전시장 침체가 당연시 되는 가운데 중국.인도 정부의 긴축 기조와 중동.아프리카의 정치적 불안이 이어지면서 신흥시장 성장세가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대지진 여파에서 회복한 일본 기업들이 공격적인 시장점유율 회복에 나서면 경쟁이 더욱 심화된다.

이에 국내 업체들은 브랜드이미지 강화와 품질개선, 신차출시를 통해 이번 위기를 넘어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지속적인 모듈화와 플랫폼 통합으로 원가경쟁력을 더욱 강화한다.

한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일본차들의 공세가 전망되는 가운데, 이번 미국발 위기는 업체들간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할 것”이라며 “상반기 실적은 잊고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고 있다”고 전했다.

◇ 유화, 유가 변동에 촉각

유화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유가가 떨어지면 통상 정유사의 정제마진이 축소되고, 석유화학업계도 제품 시황이 하락해 수익성이 악화된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한.EU FTA 효과를 기대했지만 오히려 경기침체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미국 더블딥 우려에 유럽 재정위기까지 겹치면서 하반기 경기를 예측하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LG화학 관계자 역시 “올해 전체 유가를 80불로 책정했다”며 “하반기 유가가 다소 떨어지더라도 충격에 대비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 철강, 원가절감 고삐

철강업계는 원가절감 고삐를 더욱 강하게 죄고 있다. 포스코는 원가절감 목표를 종전 1조원에서 1조4000억원으로 늘려 잡았다. 최종태 사장은 “상황이 심각해지면 플랜 B를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운업계 역시 물동량 감소에 대비한다. 김영민 한진해운 사장은 “올 하반기가 예상보다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3월부터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해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들도 요동치는 환율과 수출 감소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 동남아 공장 신축을 진행중인 국내 한 중견 제조사는 사업 수정을 고려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위기사 사태가 한 달 이상 지속될 경우 추진 목표 수정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2008년 키코사태로 큰 손실을 입은만큼 외화관련 대비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한편 이번 위기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고환율이 국내 기업들의 수출을 견인할 것이라는 기대다. 또한 달리 국내 은행의 유동성 위기 조짐이 없고 단기외채 비중이 낮아 위기수준이 2008년에 비해 적다는 낙관론도 있다.

재계 관계자는 “한국은 금융위기 3년만에 외환보유액을 2432억 달러(지난해 8월)에서 3110억 달러(올해 7월말)로 끌어올렸고 경상수지도 적자에서 지난해 282억 달러 흑자로 개선했다”며 “이번 위기는 우리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오히려 한국경제의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