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진단]“식수 오염 발생…매몰 가축 다시 꺼낼수도”
2011-02-17 18:25
“근본적 대책 마련하고 10년 동안 꾸준히 사후관리해야”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 정부가 민관합동조사팀 160여명을 투입해 구제역 가축 매몰지 전국 4632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하기로 하는 등 2차오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지속적인 관리와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최근 가축을 매몰한 지역에서 실제로 침출수가 흘러나와 식수원을 오염시킨 사례가 경기 김포시에서 처음 확인됐다고 모 언론에서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6일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 내 A마을의 한 가정집 지하수에서 침출수에 오염된 물이 나와 해당 상하수도사업소가 긴급히 이 일대 지하수 관정을 폐쇄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번 ‘구제역 사태’가 발생한 이후 실제 식수가 오염돼 지하수원 자체가 폐쇄된 것은 처음이다.
이철재 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17일 “방치하거나 차수막(벽)으로만 막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전국적으로 매몰지를 전수조사해야 하고 문제가 되는 경우 매몰한 것을 다시 꺼내서 제대로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정책국장은 “돼지는 수분이 많고 매몰한 지 2달이 지나고 나서 침출수가 가장 많이 나온다”며 “우리나라는 3~4월이 갈수기인데 이 때 조금의 오염원이 들어와도 하천이나 상수원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구제역이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라 하더라도 바이러스가 아닌 병원성 세균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유승호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구제역 살처분 가축 매몰지에 대해선 최소한 10년 이상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사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선임연구원은 “사람 시체가 썩는데도 12년이 걸린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인데 동물 사체도 마찬가지일 것이라 추정된다”며 “그래서 2~3년은 너무 짧고 10년 동안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정부는 3년 동안 관리하겠다고 하지만 본인이 과거 AI로 가축을 매몰한 지역을 모니터링한 결과 3년이 경과했을 때 침출수 오염도가 높게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승학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본부 물환경센터 선임연구원은 “어떤 단일 대책으로는 매몰지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 못 한다”며 “각 매몰지의 환경위해 요소를 구분해 파악하고 각 위해요소에 대응할 수 있는 개별기술을 연계해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 선임연구원은 “현재 가장 시급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매몰지 환경위해 요소는 매몰지 입지와 관련한 붕괴위험, 침출수 누출에 따른 지하수 오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에 대한 대응방안은 옹벽 설치, 배수로 정비, 복토면 방수막 설치인데 이것들은 매몰지 붕괴 및 가축사체 유출과 같은 극단적 상황에 대한 구조적 보완일 뿐”이라며 “이와 연계해 침출수 누출 등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