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파업 IMF환란 이후 13년만에 최저
올해 노사 분규 건수가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이후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줄어들고 근로손실일수도 최저치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들어 15일까지 발생한 파업은 79건(교섭 단위)으로 전년 동기의 118건에 견줘 33.1% 감소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들어 발생한 79건의 파업 중 70건은 종결됐으며 9건(전년도 이월 2건 포함)은 진행 중이다.
올해는 대기업과 정규직 파업이 줄어든 대신 비정규직과 소규모 영세 사업장에서의 갈등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파업 중 100인 미만 사업장의 비율은 2007년 25.2%에서 2008년 29.6%, 올해 40.5%(10월 말 현재)로 높아졌다.
파업강도를 나타내는 근로손실일수는 8일까지 47만9천599일로 작년의 61만5천502일보다 22.1% 감소했다.
올해 파업 건수 및 근로손실일수는 외환위기로 IMF의 구제금융 이후 사실상 1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외환위기가 촉발된 1997년 한해 동안 발생한 파업은 78건(사업장 단위)이었으며 근로손실일수는 44만일에 달했다.
파업건수 산정방식이 2006년부터 사업장 단위에서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단위로 변경돼 똑같이 비교할 순 없지만 통상적으로 사업장 단위보다 교섭 단위로 산정할 때 파업건수가 줄어드는 점을 감안한다면 최저 수준인 셈이다.
반면 노사가 협력을 선언한 건수는 11월 말 현재 3천998건으로 작년 동기간에 비해 49.9% 늘었다. 2007년에 749건에 불과했지만 2008년 2천558건, 지난해 2천648건 등으로 증가 추세다.
고용부는 올해 7월부터 근로시간면제(타임오프)제도 시행 등과 같은 굵직한 노동현안에도 2006년 이후 두드러진 합리적인 노사관계 정착 기조가 이어진 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