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방중] 방문 배경에 관심 집중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북한의 최고지도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3일 오전 전격적으로 중국을 방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서해 백령도 부근에서 발생한 남한 초계함 침몰사건과 관련한 조사가 진행중이고 북한 연루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것이어서 특히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천안함 사건으로 위기감을 느낀 김 위원장이 북한으로 쏠린 국제사회의 의혹제기에 대해 물타기를 하려는 의도로 이 시기를 택해 방중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더욱이 천안함 사건으로 우리 정부의 대북 정서가 크게 악화돼 있고 근래 북.미간 접촉 또는 협상 기미가 전혀 없는 점으로 미뤄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에서 6자회담 복귀 등의 긍정적 조치를 선언하기보다는 북.중 연대를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처럼 김 위원장의 방중을 두고 여러가지 추론이 나오고 있으나 북.중 모두 함구하고 있는데다 방중 목적을 예상할 수 있는 일정과 수행단이 파악되지 않고 있어 말 그대로 추론에 그치고 있다.
일단 김 위원장이 첫 행선지로 다롄(大連)을 찾는다는 점에서 2008년 북한의 라진항 1호 부두 독점사용권을 확보, 중국의 '동해 출항권'을 따낸 창리그룹과 라진항 개발 논의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천안함 사건에도 불구하고 '우리 갈 길을 가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공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가장 큰 관심은 김 위원장의 3남 김정은이 수행했는지에 쏠린다. 김정은이 수행했다면 북.중 양국 간에 김 위원장의 후계구도 논의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북.중 양국은 그간 노동당 대 공산당 차원에서 서로 최고지도자를 추인해왔고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 후임으로 가장 유력한 시진핑(習近平) 부주석도 그런 까닭에서 내부 절차를 거쳐 2008년 6월17일 방북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후 주석의 초청으로 중국을 찾은 김 위원장은 이번에 후 주석을 포함해 우방궈(吳邦國)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시 부주석, 리커창(李克强) 부총리 등 주요 인사들과 만나 회담할 것으로 예상되며 김정은이 따라왔다면 이런 일정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양국 차기 최고지도자 간의 인사 차원에서 김정은과 시 부주석 간의 회동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 외교소식통은 "최근 건강 이상설이 도는 김 위원장이 서둘러 김정은으로 권력승계 절차를 진행하면서 이에 대해 중국 최고지도층의 암묵적인 지지를 받으려 할 것"이라며 "이번 방중의 목적도 그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는 견해를 밝혔다.
북한에서 김정은으로의 후계 승계 소문은 지난해 초부터 나돌았다. 올들어 당 중앙위원회의 지시로 김정은 찬양가요인 '발걸음'이 군부, 국가안전보위부, 인민보안성의 행사곡으로 지정됐는 가 하면 김정은의 초상화가 조만간 배포될 것으로 전해지는 등 북한의 후계구도 작업이 빨라지는 양상이다.
지난해 말 북한 당국이 단행한 화폐개혁도 김정은 체제의 조기 구축을 위해 서둘렀다는 소문도 있다.
이처럼 북한 당국이 '조급증'을 보이는 배경에는 김 위원장의 건강 문제가 자리잡고 있다는 게 '정설'이다.
김 위원장은 2008년 8월 순환기 계통 이상으로 뇌졸중이 왔던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에는 만성 신부전증을 앓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으로 가장 관심이 가는 대목은 향후 북핵 6자회담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 지라고 할 수 있다.
현재로선 부정적인 전망이 앞선다.
천안함 침몰사건과 관련해 북한 연루설이 강하게 제기되는 상황에서 북한 당국이 금강산 내 우리 정부와 기업들의 재산에 대해 몰수 또는 동결조치를 취하면서 남북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아 미 행정부 역시 북한과 선뜻 대화에 나서기 어려운 탓에 6자회담 재개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김 위원장이 6자회담 전격 복귀 카드를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김 위원장이 후 주석과의 면담에서 '회담 재개'를 알리고 중국 측은 이를 바탕으로 회담 재개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는 얘기다.
중국은 북미대화→예비회담→본회담의 3단계 수순을 이미 6자회담 관련국에 통보한 바 있다.
그러나 천안함 침몰사건의 영향으로 이런 계획이 제대로 이행될 수 있을 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또 북한은 여전히 평화협정 체결 논의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해제라는 전제조건 요구를 접지 않고 있고 이에 한.미.일 3국은 그런 전제조건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여기에 천안함 사건까지 오버랩돼 6자회담이 재개되더라도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에서 체제보존을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한.미.일 압박구도에 맞선 북.중 연대 강화와 경제협력 논의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김 위원장이 올들어 경제를 부쩍 강조해온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북한은 지난달 초 최고인민회의 제12기 2차회의에서도 민생경제와 외자유치를 중점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화폐개혁으로 주민의 불만이 커지자 개혁을 주도한 박남기 노동당 계획재정부장을 최근 총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사정으로 볼 때 북측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을 통해 라진항 개방에 따른 중국과의 후속 투자 논의와 중국에 무상원조와 위안화 차관을 요구하는 등 '실리 챙기기' 행보를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