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8재보선) 최종결과, 민주당 ‘서부벨트’ 3곳서 대승...한나라 ‘평작’
대혼전의 10.28 재보선이 막을 내렸다. 민주당은 이번 선거 승패의 ‘바로미터’인 수도권 2곳과 충북에서 대승을 거두면서 제1야당으로서 건제함을 과시했다.
특히 수원 장안에 29일간 상주하면서 선거운동을 지휘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정계복귀의 발판을 마련했고, 정세균 대표도 내년 지방선거까지 롱런체제의 기틀을 다졌다.
비록 패배했지만 경남양산에서 한나라당 대표를 역임한 박희태 후보를 상대로 4%포인트 이내의 박빙승부를 벌인 ‘친노(친노무현)’세력도 가공할만한 정치력을 보였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내에선 친노계와의 통합문제가 최대 화두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반면 한나라당은 당초 우세가 예상됐던 강원 강릉과 경남 양산에서 승리하는 데 그쳤다. 특히 초접전 양상을 보인 4곳 중 3곳에서 패배하면서 향후 정국의 국정주도권을 잡는데 일정부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 때문에 4대강 사업, 세종시 원안 수정 등 이명박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사업에 대한 논란도 더욱 증폭될 전망이다.
29일 중앙선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향후 정국주도권 확보의 바로미터였던 수원 장안 지역에서는 민주당 이찬열 후보가 3만8187표(49.22%)를 획득, 3만2106표(42.67%)를 얻는데 그친 한나라당 박찬숙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됐다.
수도권의 또다른 격전지 안산 상록을에서는 민주당 김영환 후보가 1만4176표(41.17%)로 당선됐다. 반면 한나라당 송진섭 후보는 ‘야권 후보단일화 결렬’이라는 호재에도 1만1420표(33.17%)를 얻는데 그쳐 패배의 고배를 마셨다.
4개 군이 한 개의 선거구로 편입돼 소지역주의 성향이 강했던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에서는 민주당 정범구 후보가 3만1232표(41.94%)로 한나라당 경대수 후보(2만2077표, 29.64%)를 월등히 앞서며 당선됐다.
한나라당 우세지역이던 강원 강릉은 한나라당 권성동 후보가 3만4834표(50.90%)를 획득하면서 일찌감치 승리를 확정지었다.
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희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대결로 주목을 받았던 양산에서는 박 후보가 3만801표(38.13%)를 획득, 2만7502표(34.05%)를 얻는데 그친 민주당 송인배 후보를 간신히 눌렀다.
아주경제= 송정훈, 이나연, 팽재용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