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硏 "부동산금융 부실화, 확산 가능성 낮다"

2008-09-24 14:24

최근 부동산금융의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과 건설사에 한정된 만큼 전체 금융시장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4일 '최근 부동산경기에 대한 진단-금융의 관점에서'보고서에서 최근 부동산금융에 대한 불안감의 이면에는 부동산 경기 부진이 자리잡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부동산경기 사이클에 따른 가격조정, 구매력 약화, 대내외 리스크 확대로 인한 금리상승, 부동산투기 억제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시중은행 및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가 경영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지난 6월말 현재 시중은행의 PF 대출비중은 총대출 대비 4.4%에 불과하고 손실흡수능력도 손실을 전액 보전할 수 있는 100%를 크게 상회하는 189%에 달한다는 것이다. 또 자산 1조원 이상 대형저축은행도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5.0% 이하로 양호한 편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재무 건전성이 취약해 PF 대출 부실화에 따른 대응능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부동산금융의 부실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 시점에서 실제 PF 대출 부도율은 20% 미만에 그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6월말 현재 저축은행 PF 대출 연체율은 14.3%로 전액 부도가 나더라도 부도율은 15%를 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대손충당금과 토지담보 등으로 자체적인 충격 흡수가 가능한 수준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보고서는 또 "국내 부동산금융은 미국과 달리 유동화 비율이 낮고 단순한 1차 유동화에 그치고 있어 부실이 확산될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분석했다.

가계신용 부실화의 경우 지난해 4분기이후 '가계신용위험지수'가 다시 상승하고 있어 경계할 필요는 있지만, LTV와 DTI 등의 엄격한 대출규제, 약정만기의 장기화 추세 등을 감안할 때 가계대출 부실화 가능성이 낮아 지나친 위기의식에 빠질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부동산금융의 부실화는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과 건설사에 한정되어 있어서 전 금융계나 가계로 확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면서도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해 신용경색이 장기화될 가능성은 높은 만큼 금융시장내 전염효과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부동산금융 불안의 근본원인인 부동산경기가 안정돼야 한다"며 정부는 "건설자원배분의 왜곡을 야기하는 과도한 수요 및 공급 억제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저축은행들도 대출심사기준 강화 등을 통한 주택담보대출 만기의 장기화, 고정금리대출 비중 확대 등을 통한 가계대출의 안정성 제고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