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쇠고기 불신은 미국 책임-NYT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불신은 미국 자체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12일 인터넷판 기사를 통해 미국 광우병 검역체계에 대한 불신이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논란을 불러온 배경이라고 평가했다.
NYT는 2003년 미국에서 광우병의 첫 발생한 이후 농무부가 보인 방어적인 태도가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회의론을 이끌었다면서 결국 외국의 쇠고기 시장 재개방을 위한 협상을 어렵게 만들었다고 전했다.
광우병 발생 당시 검사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도축된 소가 1만파운드의 다른 육류와 함께 햄버거용으로 유통점에 공급됐고 광우병 발생 사실 확인 후 리콜이 실시됐지만 이미 상당한 양이 소비된 후였다.
심지어 광우병 위험물질이 많은 척수까지도 애완동물과 돼지 사료공장에서 사용됐다.
미 농무부가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고 발표했지만 외국 소비자들이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해 불신하고 있는 것은 바로 미국의 부실한 검역체계에 있다고 신문은 강조했다.
미국에서 도축되는 연간 3000만마리의 소 가운데 농무부는 극히 일부 만을 검사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을 안심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1997년 반추동물에서 나온 단백질을 다른 반추동물에 공급하는 것을 금지했을 당시 미국이 검사한 소는 200여마리에 불과했으며 2003년 첫번째 광우병이 발생했을 때도 연간 2만마리를 검사하는 것에 그쳤다.
유럽국가들은 당시 연간 1000만마리를 검사했으며 일본의 경우 연간 도축되는 120만마리를 모두 검사했다는 것과 비교하면 미국의 광우병 검사는 부실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식품의약청(FDA)가 아닌 농무부에서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고 주장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농무부가 농민의 이해를 보호하고 농산물 판매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관청이라는 점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FDA는 지난 2004년 소에 공급하는 사료 제한 조치를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농무부의 비협조와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이행되지 못했다.
기본적으로 농무부는 광우병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기 힘든 기관이다. 농무부가 쇠고기 생산업체의 전수조사 허용 요청까지 묵살했다는 사실이 이를 여실히 반영한다.
농무부는 두 번째 광우병이 발생한 2005년 일부 검사에서 양성반응이 나왔다는 사실을 7개월간 은폐한 바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편 신문은 이날 한국에서 연일 벌어지고 있는 촛불시위는 미국에 대해 머리를 숙일 필요는 없다는 한국 내 민족주의적 정서의 표출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이명박 대통령의 쇠고기 수입 결정이 한국인의 자존심을 건드렸으며 촛불시위로 대표되는 민족주의적 정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이명박 대통령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한국인에게 이번 쇠고기 논란은 국민건강과 경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통령이 강대국의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시험이 될 수도 있다고 신문은 평가했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