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경기 부진 조짐에 올해 4분기 국내 제조업 체감 경기도 하향 조정됐다.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국 제조기업 2252곳을 대상으로 ‘4분기 제조업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89) 대비 4포인트 하락한 85로 집계됐다.
3분기에 이어 4분기도 내수(85)와 수출(86) 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밑돌았다. 대기업(86)과 중견기업(84), 중소기업(85) 모두 기준치 100을 밑돌며 4분기 체감경기 부진이 예상됐다.
중소기업은 전 분기 대비 2포인트 하락한 반면,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각각 12포인트, 13포인트 하락해 낙폭이 더 컸다.
업종별로 보면 화장품(110), 의료정밀(109) 업종만 기준치를 넘어서면서 체감경기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화장품 업종은 중국 수요 부진에도 미국, 일본을 비롯한 서구권 국가로의 수출이 증가하며 가장 높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의료정밀 업종은 4분기 수주계약과 매출 증가를 예상하는 기업이 많아 전망이 밝았다.
반면, 반도체(94)와 전기장비(97) 업종은 100 이하로 하락 전환하며 체감경기 둔화가 예상됐다. 반도체는 모바일·PC 수요 둔화 우려에 최근 범용 D램 가격 하락까지 겹치며 체감경기 전망이 악화했다.
비금속광물(89)과 정유·석유화학(86) 업종은 환율과 원자재 가격 불안정성이 지속됨에 따라 체감경기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74)은 전방산업인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가장 낮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자동차(79)도 8월 생산량이 2022년 8월 이후 2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전기차 수요 부진에 대한 우려도 지속되고 있어 4분기 체감경기 전망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식음료(82) 업종의 경우 고금리 장기화에 더해 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제품 가격 인상 영향으로 업황 부진을 예상하는 기업이 많았다.
조사 결과 올해 영업실적이 연초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61.6%(소폭 미달 42.0%, 크게 미달 19.6%)로, 지난해 동기(59.2%)보다 소폭 증가했다.
목표 수준을 달성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30.4%로, 지난해 조사보다 7.7%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들은 올해 4분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 리스크(복수응답)로 내수 소비 위축(57.2%)과 원자재 가격 상승(39.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수출국 경기침체(27.6%), 고금리 등 재정 부담(23.4%), 환율 변동성 확대(20.0%) 등의 응답이 뒤따랐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미국 등 주요국이 경기 침체 우려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정책금리 인하에 나선 상황에서 우리도 내수 진작과 투자 활성화를 위한 통화정책 전환을 적극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며 “정부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첨단 전략산업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세액공제를 확대하고 인프라 투자에 대한 재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