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OLED 초격차'···게임기·UMPC로 사업 확대

2024-05-12 18:0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중국 패널업체들이 LCD에 이어 OLED까지 추격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차세대 기술을 통해 '초격차' 전략에 나섰다.

    이에 위기를 느낀 국내 패널업체들은 이번 학회에서 발표한 것처럼 차세대 기술을 통한 응용처 확대에 매진할 전망이다.

    예를 들어 밸브의 '스팀덱'은 게이밍 UMPC(휴대용 PC)로서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며, 닌텐도의 휴대용 비디오 게임기(콘솔) 스위치 역시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을 탑재했다.

  • 글자크기 설정

SID, 삼성D 4편···LGD 1편 우수논문 선정

삼성D, QD-LED···LGD, 올레도스 기술 주목

닌텐도 스위치·UMPC 등 OLED 응용처 확대 기대

왼쪽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자발광 QD-LED 시제품 LG디스플레이 연구진이 VR용 올레도스를 연구하고 있다 사진양사 제공
(왼쪽)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자발광 QD-LED 시제품, LG디스플레이 연구진이 VR용 올레도스를 연구하고 있다. [사진=양사 제공]

중국 패널업체들이 LCD에 이어 OLED까지 추격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차세대 기술을 통해 '초격차' 전략에 나섰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2024에서 각각 네 편과 한 편의 논문이 우수논문으로 선정됐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세대 양자점(QD) 기술을 선보였으며, 특히 자발광 QD-LED 기술 연구가 주목을 받았다. 해당 연구는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해 QD-LED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인 점에서 학계와 산업계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LG디스플레이는 올레도스 기술을 통해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용 디스플레이의 가능성을 확장시켰다. 독자개발한 OLED 빛 추출 극대화 기술(MLA)로 기존 OLED 대비 약 40% 향상된 화면 밝기를 구현했다.

국내 패널업체들의 차세대 기술력이 인정 받으면서 BOE와 CSOT, 티엔마 등 중국의 추격을 뿌리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 패널업체들은 저가·물량공세로 예전 기술인 LCD를 점령한데 이어 OLED에서도 맹추격에 나서고 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시장은 매출기준, 한국이 71.6%로 여전히 1위지만 중국과의 격차는 매년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BOE는 애플 공급망에도 진입하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경쟁자로 빠르게 성장했다.

이에 위기를 느낀 국내 패널업체들은 이번 학회에서 발표한 것처럼 차세대 기술을 통한 응용처 확대에 매진할 전망이다.

예를 들어 밸브의 '스팀덱'은 게이밍 UMPC(휴대용 PC)로서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며, 닌텐도의 휴대용 비디오 게임기(콘솔) 스위치 역시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을 탑재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더욱 높은 화질과 색상 표현력을 요구하는 추세에 부응하는 것이다.

특히 닌텐도의 차세대 게임 콘솔인 '스위치2(가칭)'의 경우 현재는 LCD가 탑재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전작처럼 추후 삼성디스플레이 등의 OLED를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OLED 시장의 확장과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닌텐도 스위치는 지난 2016년 출시이래 7년간 전 세계에서 1억3000만대가 팔린 베스트셀러 게임 콘솔이다.

이창희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장(부사장)은 "앞으로도 세상에 없던 기술을 선도적으로 선보이고 차세대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닌텐도 스위치 OLED 모델 사진한국 닌텐도
닌텐도 스위치 OLED 모델 [사진=한국 닌텐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