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가계가 부담해야 할 빚의 증가 속도와 증가폭이 세계 주요국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지난해 각 국가별 가계 부문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 따르면 한국 가계부문의 DSR은 전년 대비 12.8%에서 0.8%포인트 오른 13.6%로 집계됐다. 이는 17개 조사대상국 가운데 호주(14.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DSR은 소득에서 상환해야 할 원리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다. 국내 가계 부문 DSR이 상승한 원인으로는 급격한 금리 인상이 이뤄지면서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경우 전년도 동일 조사에서의 순위가 5위권이었으나 여타 주요국들의 DSR이 감소하면서 1년 만에 2위권으로 올라선 것이다. 실제 지난해 가계부문 DSR이 증가한 국가는 호주, 한국 캐나다, 미국 등 8개국으로 나머지 9개국은 DSR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이같은 가파른 가계부채 증가 추세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국내 가계가 가계부채를 줄일 수 없는 상황에 몰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등 부동산 취득 목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은행권 가계배출 1062조원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규모는 815조원(76.7%)에 달한다.
이와 관련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앞으로 가계부채가 계속 늘어난다면 우리 경제에 큰 불안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한편으로는 가계부채가 이미 늘어나 있고 부동산 시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단기적으로 급격하게 조정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점진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섬세한 정책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