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은 배고프다.”
바꾸고 싶지만 쉽게 바뀌지 않는 말이다.
‘예술인 복지법’ 제4조의 3에 따라 3년마다 시행되는 ‘예술인 실태조사’는 문화계의 차가운 현실을 잘 보여준다.
가장 최근인 ‘2021 예술인 실태조사’(2020년 기준)에 따르면 예술인 개인이 예술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연 수입은 평균 755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월수입 100만원 미만 비중이 86.6%로 높았다.
분야 간에 예술활동 수입 편차는 컸다. 건축, 만화, 방송연예 분야 활동 수입이 비교적 높은 반면 사진, 대중음악, 국악 분야는 수입이 낮았다.
부익부빈익빈 현상은 문화계에서도 심화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지난해 12월 29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과 함께 발표한 2022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결과에서도 소득수준별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람률(이하 관람률)’에 큰 차이가 있었다.
고소득층(월 가구소득 600만원 이상)의 2022년 관람률은 73.6%로 2021년 48.9%에 비해 24.7%포인트 상승했지만 저소득층(월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관람률은 2022년 17.4%로 2021년 14.7%에 비해 2.7%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월 가구소득 100만~200만원 미만, 월 가구소득 200만~300만원 미만의 2022년 관람률 증가도 각각 3.5%포인트, 4.7%포인트에 머물렀다.
반면 월 가구소득 300만원 이상부터 관람률이 대폭 늘었다. 300만~400만원 미만 가구의 관람률은 24.5%포인트, 400만~500만원 미만 가구의 관람률은 26.8%포인트, 500만~600만원 미만 가구의 관람률은 24.3%포인트 증가했다.
여전히 문화 양극화는 좁혀지지 않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을 꼽는다. 통합문화이용권은 복권기금을 재원으로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게 문화예술·국내여행·체육활동을 지원하는 이용권(바우처)이다.
2023년 문체부 예산을 보면 통합문화이용권 지원 대상을 267만명으로 전년 대비 4만명 확대했고 1인당 지원 금액도 10만원에서 11만원으로 증액했다. 통합문화이용권 예산은 2022년 1881억원에서 2023년 2102억원으로 증액됐다.
다양한 예술인에게 맞는 세밀한 지원도 필요하다.
‘2021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자료를 보면 장애예술인의 문화예술활동으로 인한 연 수입은 218만1000원이었다.
문체부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제1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기본계획(2022~2026)’에는 창작공모사업 확대 및 준비금 지원 강화, 표준공연장 등 무장애 창작공간 확충, 공공영역 장애예술인 일자리 창출, 장애인 예술교육 확대에 관한 정책이 담겼다.
문체부 관계자는 “장애인의 창작·접근 환경을 정교하게 개선하기 위한 예산을 늘려 장애인 친화 정책 기반을 마련했다“며 “사각지대 없는 예술인 지원체계 확립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바꾸고 싶지만 쉽게 바뀌지 않는 말이다.
‘예술인 복지법’ 제4조의 3에 따라 3년마다 시행되는 ‘예술인 실태조사’는 문화계의 차가운 현실을 잘 보여준다.
가장 최근인 ‘2021 예술인 실태조사’(2020년 기준)에 따르면 예술인 개인이 예술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연 수입은 평균 755만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월수입 100만원 미만 비중이 86.6%로 높았다.
부익부빈익빈 현상은 문화계에서도 심화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지난해 12월 29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과 함께 발표한 2022년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결과에서도 소득수준별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람률(이하 관람률)’에 큰 차이가 있었다.
고소득층(월 가구소득 600만원 이상)의 2022년 관람률은 73.6%로 2021년 48.9%에 비해 24.7%포인트 상승했지만 저소득층(월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관람률은 2022년 17.4%로 2021년 14.7%에 비해 2.7%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월 가구소득 100만~200만원 미만, 월 가구소득 200만~300만원 미만의 2022년 관람률 증가도 각각 3.5%포인트, 4.7%포인트에 머물렀다.
반면 월 가구소득 300만원 이상부터 관람률이 대폭 늘었다. 300만~400만원 미만 가구의 관람률은 24.5%포인트, 400만~500만원 미만 가구의 관람률은 26.8%포인트, 500만~600만원 미만 가구의 관람률은 24.3%포인트 증가했다.
여전히 문화 양극화는 좁혀지지 않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을 꼽는다. 통합문화이용권은 복권기금을 재원으로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게 문화예술·국내여행·체육활동을 지원하는 이용권(바우처)이다.
2023년 문체부 예산을 보면 통합문화이용권 지원 대상을 267만명으로 전년 대비 4만명 확대했고 1인당 지원 금액도 10만원에서 11만원으로 증액했다. 통합문화이용권 예산은 2022년 1881억원에서 2023년 2102억원으로 증액됐다.
다양한 예술인에게 맞는 세밀한 지원도 필요하다.
‘2021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자료를 보면 장애예술인의 문화예술활동으로 인한 연 수입은 218만1000원이었다.
문체부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제1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지원 기본계획(2022~2026)’에는 창작공모사업 확대 및 준비금 지원 강화, 표준공연장 등 무장애 창작공간 확충, 공공영역 장애예술인 일자리 창출, 장애인 예술교육 확대에 관한 정책이 담겼다.
문체부 관계자는 “장애인의 창작·접근 환경을 정교하게 개선하기 위한 예산을 늘려 장애인 친화 정책 기반을 마련했다“며 “사각지대 없는 예술인 지원체계 확립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