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이태원 참사로 전국에서 추모 물결이 이어지는 가운데 숨진 이들을 어떻게 표기할 것이냐를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정부가 지난달 31일 발송한 '이태원 사고 관련 지역 단위 합동분향소 설치 협조' 공문에서 숨진 이들을 '사망자'로 표현하도록 안내하면서다. 야당은 정부가 희생자를 사망자로 표현해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비판했다. 가치중립적 법률 용어를 쓴 것이라는 게 여당의 반박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사망자·희생자 용어를 두고 설전이 오가고 있다.
3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로 숨진 이들을 희생자와 사망자 중 어느 쪽으로 표기해야 하느냐를 두고 전날 투표가 진행됐다. 이날은 광주광역시가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변경한 날이다.
3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로 숨진 이들을 희생자와 사망자 중 어느 쪽으로 표기해야 하느냐를 두고 전날 투표가 진행됐다. 이날은 광주광역시가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변경한 날이다.
한 누리꾼은 "대의를 위해 희생된 게 아닌 만큼 피해자 혹은 사망자 정도가 적당해 보인다"는 댓글을 남겼다. 다른 누리꾼도 "희생자보다는 사망자가 맞다고 본다"며 "희생자는 사고나 재해로 사망한 사람 혹은 희생당한 사람 등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하지만 사람들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즉 불필요한 오해가 생길 수 있는 단어 사용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면 사전적 의미로 봤을 때 희생자라는 용어를 사용해도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도 있다. 실제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희생의 뜻은 ①다른 사람이나 어떤 목적을 위하여 자신의 목숨, 재산, 명예, 이익 따위를 바치거나 버림. 또는 그것을 빼앗김 ②사고나 자연재해 따위로 애석하게 목숨을 잃음 등으로 나온다. 과거 희생의 정의에는 ①번만 있었으나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를 거쳐 ②번이 추가됐다. 그렇다 보니 이태원 참사로 숨진 이들을 희생자로 표현해도 문제가 없다는 논리다.
또 다른 누리꾼은 "무엇을 위해 희생된 것이냐"는 질문에 "많은 사람이 한 곳에서 동시에 같은 원인으로 숨지는 참사로 (우리는) 밀집된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경각심을 갖게 된다"며 "비슷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법과 제도가 개선된다"고 말했다. 즉 참사로 숨진 이들을 희생자로 표기해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또 다른 누리꾼은 "무엇을 위해 희생된 것이냐"는 질문에 "많은 사람이 한 곳에서 동시에 같은 원인으로 숨지는 참사로 (우리는) 밀집된 장소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경각심을 갖게 된다"며 "비슷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법과 제도가 개선된다"고 말했다. 즉 참사로 숨진 이들을 희생자로 표기해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실제로 언론에서도 오래전부터 대형 참사로 숨진 이들을 희생자로 지칭해왔다. 지난 1994년 성수대교 붕괴,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당시 언론 보도를 보면 숨진 이들이 '희생자'로 명시돼 있다. 또 표준국어대사전에 희생의 ②번 뜻이 추가되기 이전에도 박근혜 전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희생자, 희생이라는 표현을 여러 번 사용한 바 있다.
한편 이태원 참사 희생자 용어를 두고 정치권을 비롯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도 충돌이 빚어지자 국립국어원에는 관련 질문이 올라오고 있다. 지난달 31일 한 누리꾼은 국립국어원에 "이태원 참사로 숨진 이들을 사망자와 희생자 중 하나로 표기해야 한다면 어느 쪽이 더 올바른 단어냐"는 질문을 남겼다. 이에 국립국어원 측은 "문의 내용에 판단하기 어렵다"며 사망자와 희생자의 사전적 정보만을 첨부한 뒤 "해당 내용을 참고해 달라"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이태원 참사 희생자 용어를 두고 정치권을 비롯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도 충돌이 빚어지자 국립국어원에는 관련 질문이 올라오고 있다. 지난달 31일 한 누리꾼은 국립국어원에 "이태원 참사로 숨진 이들을 사망자와 희생자 중 하나로 표기해야 한다면 어느 쪽이 더 올바른 단어냐"는 질문을 남겼다. 이에 국립국어원 측은 "문의 내용에 판단하기 어렵다"며 사망자와 희생자의 사전적 정보만을 첨부한 뒤 "해당 내용을 참고해 달라"는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