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8/24/20220824155222608320.jpg)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맨 왼쪽)이 24일 오전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3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SK 구직 프로그램 이수 때 지원금 받는다
당정은 24일 국회에서 '2023년 예산안 관련 당정협의'를 열고 이 같은 결정에 합의한 뒤 청년 구직 지원을 약속했다.
우선 청년 일자리와 관련해 구직 단념 청년들이 구직 의욕 고취 프로그램을 이수할 때에 한해 도약준비금 300만원을 지원하는 예산을 반영하기로 했다. 구직 활동을 단념한 청년들을 고용 시장으로 이끌어내려는 취지다.
또 청년들을 전세 사기 위험에서 보호하는 안전망을 확보하기 위해 청년들에게 보증보험 가입비 월 6만원을 지원하는 예산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삼성·SK 등 대기업이 직접 운영하는 직업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취업률이 높아진다"며 "이에 대한 일자리 예산을 대폭 확대할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에게는 고용 장려금을 현행 30만~80만원에서 하한과 상한을 각각 20%, 10% 인상하고 저소득 근로 장애인에게 교통비를 월 5만원 신규 지급하는 안도 반영된다.
고물가에 따른 지원 대책으로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를 50%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데 뜻을 모았으며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지급 대상을 내년에 2배 이상 확대해 현재 590만명인 지급 인원을 1700만명 정도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당정은 소상공인·자영업자 부채 위험 완화가 급선무라는 판단에서 약 25만명을 대상으로 하는 채무조정 예산을 내년 예산안에 반영할 계획이다.
◆나라살림 13년 만에 감축···"장차관 월급 10% 반납"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본예산은 지난해 본예산(607조7000억원)과 2차례 추경을 더한 총지출 예산(679조 5000억원) 사이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10년 이후에 최초로 추경을 포함해 전년 대비 대폭 감소한 수준으로 예산 편성을 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윤석열 정부가 내년 본예산을 679조원 이하로 책정하면 무려 13년 만에 감축된다. 역대 정부는 그동안 추가경정예산안 편성과 관계없이 다음 해 본예산 규모를 전년 총지출보다 키웠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0년 본예산을 292조8000억원으로 편성해 2009년 총지출(302조3000억원)보다 낮게 책정한 이후 한 번도 본예산이 전년 총지출보다 감축 편성되지 않았다.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은 문재인 정부에서였다.
특히 공공부문을 포함한 부처별 예산이 대폭 삭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공공기관 예산을 10% 줄이고, 각종 복지 혜택도 삭감하는 등 개혁에 착수한 상태다. 또 장차관 월급 10% 반납도 예고했다. 특히 집행 부진, 관행적 보조·출연·출자, 외부 지적 사업 등도 주요 삭감 대상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국무회의를 거쳐 오는 9월 2일 국회에 내년 예산안을 제출할 계획이다.